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4 (2023)
pp.343~370

DOI : 10.35983/sikm.2023.74.343

조선 초기 예악의 또 다른 지향, ‘興起人心’

임영선

(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및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객원연구원)

본 연구는 조선 초기 예악 정비의 과정을 고제의 구현이나 민족적 주체성의 발현이라는 측면에서만 이해하였던 기존 연구와 달리, 세종과 세조가 음악의 본질적 특징인 심미성이나 정서적 기능 또한 중요하게 여기며 나라의 음악을 마련하였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조선 초기 왕가에는 일상에서 음악을 즐기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대군들에게 악기를 배우고 음악을 가까이하기를 장려하였다. 이러한 시대 분위기를 바탕으로 세종과 세조를 비롯한 여러 대군이 음악 적 소양을 기를 수 있었으며 이후 이들이 주축이 되어 나라의 음악을 만들 수 있었다. 세종은 아악을 만드는 과정에서 회례에 연행될 음악은 음률이 맞아야 하며 눈과 귀를 길러 사람의 마음 을 흥기 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곧 음악이 미적 요건을 갖추어 청자의 정서적 작용을 일으켜야 한다는 뜻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 의례에서 어떤 음악을 연향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도 사상적 기준만을 따른 것이 아니라 심미적 기준에 의해 결정을 내린 사례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보면 세종은 음악 본연의 심미적 특징과 정서적인 기능을 중시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음악관은 신악의 창제로 이어졌다. 세종이 재위 말기에 창제한 신악은 고려 전래의 향악을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창작되면서 적층적으로 형성된 고려 향악의 예술적 요소를 갖추고 있었다. 세조는 유가의 악론에 제한받지 않고 폭넓고 유연하게 음악을 사유하였으며 음악을 통한 정서적 넓게 표현을 인정하는 음악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아악이었던 기존 종묘제례악을 세종 신악 중 하나인 보태평 정대업 으로 개정하였는데, 이 두 곡은 악장 형식, 기악대강, 장단에 있어서 다양한 양식의 악곡으로 구성된 모음곡이면서도 앞뒤로 인입곡(引入曲)과 인출곡(引出曲)을 배치하여 하나의 작품이 되도록 짜여있다. 세조가 시행한 종묘제례악 개정은 단일 양식의 음악에서 다양한 양식의 음악으로의 변화라고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예술성을 갖춘 신악이 종묘제례악으로 오늘날까지 이르게 된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유교를 근간으로 하는 조선에서 세종과 세조는 제례작악(制禮作樂)의 과정에서 사상과 이념뿐 아니라 음악의 예술적 내용도 고려하여 음악을 만들어 나갔다. 직접 악기를 연주하고 음악을 깊이 이해했던 세종과 세조는 음악의 심미성과 정서적 기능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이들의 주도로 진행된 조선 초기 음악 정비 과정은 사상적인 면뿐 아니라 예술적인 면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Another Orientation of Early Joseon Court Music, ‘Stimulating the people’s heart’

Lim, Young-Sun

This study, unlike previous research that solely understood the process of early Joseon Dynasty's music arrangement in terms of the realization of rituals or the expression of national identity, aimed to highlight the fact that Kings Sejong and Sejo valued the inherent aesthetic and emotional functions of music when establishing the country's music.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oyal family had a culture of enjoying music in daily life and learning musical instruments. Especially within the royal family, princes were encouraged to learn musical instruments and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music. Given the cultural atmosphere of the time, many princes including Sejong and Sejo were able to nurture their musical talents, and later, they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creation of the nation's music. King Sejong emphasized that music, especially for royal processions, should not only be rhythmically accurate but also evoke emotional responses,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aesthetic appeal in music. Decisions about rites adoption reflected this aesthetic importance, moving beyond mere ideological considerations to include what was visually and sonically pleasing. This aesthetic-centric perspective extended to the creation of new music during Sejong's reign, which actively integrated elements from the Goryeo court music, thus preserving and showcasing its rich artistic heritage. King Sejo approached music with a progressive mindset, not limited to traditional Confucian musical theories. He championed the emotional depth music could convey. During his reign, he notably replaced the Jongmyo rites' traditional A-ak with two compositions from King Sejong's innovative repertoire, Botaepyeong and Jeongdae-eop. This revised music, while diverse in its musical forms and orchestration, was unified through introductory and concluding pieces. Sejo's transformative revisions represent a pivotal shift in musical history, transitioning from a singular A-ak style to an eclectic collection, ensuring the lasting legacy of these artistic compositions in the Jongmyo rites. In the Confucian-based Joseon Dynasty, Kings Sejong and Sejo went beyond mere ideological considerations in their musical compositions, emphasizing both the aesthetic and emotional essence of music. With personal expertise in musical instruments and a deep appreciation for music, their leadership fostered the development of artistically enriched compositions. This innovative approach culminated in the enduring adoption of their creations for the Jongmyo rites, marking a significant historical milestone.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