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4 (2023)
pp.137~152

DOI : 10.35983/sikm.2023.74.137

강릉관노가면극에 대한 음악학적 접근

임혜정

(한양대학교 교수)

강릉관노가면극은 강릉단오제라는 마을의 제례의식에 포함되는 연희지만 제례성보다는 오락성이 강했 던 연희였다. 강릉관노가면극은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에 중단되는데 이에 관해서는 강릉단오제 중 오락의 목적으로 연행되었던 전통 연희가 새롭게 등장한 오락거리들로 대체 되며 전승이 단절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대체는 강릉관노가면극이 제의로서의 역할보다는 신과 마을주민의 오락을 위한 독립적인 연희로서의 역할을 담당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강릉관노가면극 연희 전후로 음악이 연주되거나 또는 연희 장소를 옮기는 동안 이루어지는 행렬대에서 도 음악이 연주되었다. 그리고 이를 반영하여 1960년대 복원 이후 연희자를 포함하여 길놀이를 하고 난 뒤 본격적인 탈놀이를 시작했는데 이 때 <산유가>를 부르기도 했다. 이렇게 산대도감계통극 가면극에서 나타나는 길놀이와 탈놀이가 결합된 형태를 강릉관노가면극에서도 찾을 수 있다는 점은 비록 그 시점이 20세기 이후일 수는 있어도 두 계통의 가면극간의 교류 및 전파의 가능성, 또는 가면극 연희의 ‘보편성’ 등을 추측하게 해 준다. 이는 강릉관노가면극이 산대도감계통극 가면극과 같은 계통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 을 제시한다. 강릉단오제 또는 강릉관노가면극의 연희에서 노래는 무당이라는 전문가 집단이 담당한다는 인식이 있었 음이 본고에서 확인되었다. 강릉단오제에서 부르는 무가들은 청보장단과 제마수장단 등 동해안무속음악의 특징적인 장단으로 되어 있으며 양중의 타악 반주, 바라지와 호흡을 맞추어 부른다. 이러한 형태의 노래들 은 강원도 토속민요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강릉관노가면극 연희의 길놀이에 노래를 포함시킨다면 토속민요가 아닌 무가의 음악적 양상을 고려한 복원 작업을 고려해야 한다. 한편 강릉관노가면극의 반주음 악은 1960년대 이후 복원된 것이라고는 하지만 등장인물의 캐릭터, 또는 극의 분위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가면극 반주음악으로서의 보편성을 지녔다. 즉, 강릉관노가면극 반주 음악은 산대도감극계통과 통하는 것 으로 극음악의 성격을 지녔으며, 동해안 무속음악과 통하는 무속음악적인 성격을 지녔다고 보기는 어렵다.

A Musicological Study on the Gangneung Gwanno Mask Drama

Im, Hye-Jung

Gangneung Gwanno Mask Drama was a performance included in the ritual ceremony of the village called Gangneung Dano Festival, but it was a performance that was more entertainment than the ritual. After the restoration of the 1960s, after playing with the performers, they began to play with masks in earnest, and at this time, “Sanyuga” was also sung. The fact that the combination of Gilnori and Mask Play in the Sandaedogam-style Mask Drama can also be found in the Gangneung Gwanno Mask Drama, even if the time point may be after the 20th century, makes us guess the possibility of exchange and propagation between the two types of masquerades, or the 'universality' of the masquerade performance.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Gangneung Gwanno Mask Drama may be of the same system as the Sandaedogam-style Mask Drama. It was confirmed in this paper that there was a perception that a group of experts called shamans was in charge of singing in the performance of Gangneung Danoje or Gangneung Gwanno Mask Drama. The songs in Gangneung Dano Festival consist of the characteristic rhythms of the East Coast shamanic music such as the Cheongbo Jangdan and the Jemasoo Jangdan, and are sung in harmony with the percussion accompaniment and assistance of the two. These types of songs are difficult to find in the local folk songs of Gangwon-do. Therefore, if songs are included in the road play of Gangneung Gwanno Mask Drama, restoration work should b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musical aspect of the shamanic song, not the folk song.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accompaniment music of Gangneung Gwanno Mask Drama has been restored since the 1960s, it has universality as a masquerade accompaniment music in that it presents the character's character or the atmosphere of the play. In other words, the accompaniment music of Gangneung Gwanno Mask Drama is connected with the Sandaedogam-style Mask Drama system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dramatic music,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shamanic music that is connected with the East Coast shamanic music.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