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2 (2022)
pp.169~195

DOI : 10.35983/sikm.2022.72.169

『금보전』(황병기 소장본) 편찬 연도 재론

최선아

(서울대학교 강사)

2020년 『금보전』(황병기 소장본)이 영인되어 해제와 함께 한국음악학계에 소개되었다. 그러나 이 악보의 편찬 연도인 계사년(癸巳年)이 해제에 1713년과 1833년 두 가지로 추정되어 있어서 혼란스럽다. 본고는 이러한 혼란을 수습하고자 『금보전』의 편찬 연도의 근거를 재고하고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여 편찬 연도를 1713년으로 해석하였다. 『금보전』은 양금신보․청송보․신보․시보를 저본으로 한 금론 및 악곡을 수록하고 있다. 이 악보 필사자의 관심은 『양금신보』의 금론과 4가지 조로 된 <중대엽>․<삭대엽>․<북전>에 집중되어 있다. 수록된 금론 및 악곡, 특히 가장 최신의 음악을 싣고 있는 시보의 <평조 북전>이 김성기의 악보를 넘지 않기 때문에 편찬 연대 계사년을 1713년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렇다면 19세기 악보인 『유예지』와 『삼죽금보』(1841)가 구개음화된 거문고 구음 ‘지’, ‘징’ 출현의 출발점이라 판단하여 『금보전』의 편찬 연도 계사년을 1833년으로 추정한 해제는 수정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ㄷ구개음화’는 i, j 모음 앞의 ‘ㄷ, ㅌ’이 ‘ㅈ, ㅊ’으로 교체되는 변화로, 17세기 초부터 등장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금보전』에서 거문고 구음 ‘지’, ‘징’과 함께 사용된 겹술 구음 ‘들스렝’은 『금보신증가령』(1680)과 연세대 소장 『금보』에서 사용되었다가 『한금신보』(1724)에서 ‘딩스렝’으로 교체되었다. 이 점 역시 『금보전』이 18세기 전반기를 넘지 않는다는 증거가 된다.

Re-estimated on The Year of Compilation of Geumbojeon

Choi, Sun-A

In 2020, Geumbojeon (琴譜全) (collected by Hwang Byung-ki) was published and introduced to academia along with bibliographic commentary. It is confusing because the year of writing this score was estimated by dividing it into 1713 and 1833. In order to resolve this confusion, this paper re-estimated the year of compilation as 1713 by reconsidering the basis for estimating the year of compilation of Geumbojeon and supplementing incomplete parts. Geumbojeon contains the theory and music of cheun (琴) recorded based on the Yanggeumshinbo (梁琴新譜), Cheongsongbo (聴松譜), Shinbo (新譜), and Sbo (時譜). The author’s interest in this sheet music is concentrated on the cheun theory (琴論) of Yanggeumshinbo and the four keys and modes of , , and .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e year of compilation as 1713, since the included cheun theory and music, especially , which contains the most recent music, does not exceed the score of Kim Seong-gi. Then, it is wrong to estimate the year of compiling Geumbojeon as 1833 because the 19th century sheet music Yuyeji and Samjukgeumbo (1841) are the starting points of the appearance of the palatalized geomungo gueum (口音) ‘ji’ (지) and ‘jing’ (징). This is because ‘ㄷ palatal consonant’ is a change in which ‘ㄷ, ㅌ’ in front of ‘i’ and ‘j’ vowels are replaced with ‘ㅈ, ㅊ’, and it appears from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Moreover, ‘deulsereng’ (들스렝), which was used together with ‘Ji’ and ‘Jing’ in Geumbojeon, was also used in Geumbosinjeunggyeong (1680), Geumbo in the possession of Yonsei University, and was replaced by ‘dingsreng’ (딩스렝) in Hangeumsinbo (1724). The point also proves that Geumbojeon did not exceed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