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1 (2022)
pp.275~312

DOI : 10.35983/sikm.2022.71.275

단가 <옥루사창(인호상이)> 연구

신은주

(전북대학교 한국음악학과 교수, 전북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소장)

20세기 전반은 오늘날에 비하여 훨씬 다양한 단가가 존재하였고, 여러 단가의 사설을 차용하여 새로운 악곡이 지속적으로 재생산되었다. 특히 1930년대에는 새로운 단가 작품이 대거 출현하며 크게 유행하였다. 그러나 이들 작품 중 상당수는 오늘날 잘 연행되지 않고, 20세기 전반에 비하여 단가 레퍼토리가 대폭 축소되었다. 본고의 연구 대상인 단가 <옥루사창> 역시 1930년대 등장한 단가로, 20세기 전반 활발히 연행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부르는 이가 없다. 20세기 전반 경성방송국 라디오방송 및 SP음반 발매 기록을 통해 이 무렵 단가 <옥루사창>의 연행에 대해 살펴보면, 1934년 처음 방송 기록이 나타나고, 가장 활발하게 연행된 시기는 1934년과 1935년이며, 이후로 조금씩 감소한다. 단가 <옥루사창> 고음반 역시 1935년과 1936년에 집중적으로 발매되었다. 당시 악곡명으로는 <옥루사창>, <인호상>, <인호상이>, <인호상이 자작하야>의 다양한 형태가 혼용되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된 악곡명은 <옥루사창>이다. 경성방송국 기록에 의하면 이 단가가 등장한 1934년과 1935 년 무렵에는 <인호상이 자작하야>라 하여 노랫말의 첫 구를 딴 악곡명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이후로 점차 <옥루사창> 이라는 악곡명으로 정착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특징적인 것은 단가 <옥루사창>을 노래한 이들 이 모두 여성 창자들이라는 점인데, 김소희, 이소향, 임소향, 조소옥은 방송과 음반 기록이 모두 발견되고, 주란향과 박초선은 라디오 방송으로 여러 차례 단가 <옥루사창>을 불렀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 단가 <옥루 사창>외에 다른 단가를 부른 기록이 더 많이 발견되는 점에서, 단가 <옥루사창>은 이들에게 여러 레퍼토리 중 하나일 뿐, 가장 즐겨 부른 악곡은 아니었던 듯 하다. 20세기 전반 고음반을 통해 단가 <옥루사창>의 노랫말과 음악 특징을 살펴보면, 대체로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 먼저, 노랫말은 김소희, 신숙, 조금옥, 주송사, 이소향의 사설이 거의 같은 흐름을 보이고, 창자에 따라 약간씩 노랫말의 가감이 있을 뿐이다. 단가 <옥루사창>은 당시 유행하던 여러 악곡의 노랫말을 수용 하여 재구성된 형태로, 김소희의 소리에만 존재하는 도입부의 “옥루사창 화류중으 백마금편 소년들아”는 편수대엽에 얹어 불리던 김태석의 시조 <옥루사창>의 일부이다. “인호상이”로 시작하는 전반부는 사설시조 <소년행락이 다 진커든>의 노랫말이며, 후반부에 단가 <백구가>의 노랫말로 넘어가는데, 후반부의 구성은 단가 <달거리> 및 <강상풍월>과 유사성을 띤다. 음악적으로도 단가 <옥루사창>은 각 창자에 따른 약간의 변화들만 있을 뿐, 전체적으로 유사한 선율 흐름 및 붙임새를 보이는 바, 동일 계보의 소리로 판단된다. 20세기 전반 다양한 단가가 여러 버전으로 존재하였고, 끊임없이 재구성의 형태로 수많은 작품들을 파생해 내었던 것과는 달리, 고음반을 통해 확인된 다섯 창자의 단가 <옥루사창>이 사설 및 음악적으로 거의 동일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파생을 이루지는 못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정달영의 가야금병창 <인호상이> 음원이 전하는데, 정확한 녹음 시기는 알 수 없으나, 20세기 전반의 단가 <옥루사창>과는 매우 다른 선율로 이루어져 있고, 가야금병창의 장르적 특성이 두드러진다. 1936년 단가 <옥루사창>을 관현악 반주에 맞추어 녹음했던 이소향 역시 가야금병창으로 이 곡을 부르기도 하였는데, 이소향은 김소희, 조금옥 등 여느 창자와 동일한 선율로 소리하고 있는 점에서, 1930년대 중반에 단가 <옥루사창>은 단가로 불리는 경우나 가야금병창으로 불리는 경우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병창으로 불린 <인호상이(옥루사창)>는 병창으로서의 특징을 드러내면서 전반 적으로 선율이 간결해지고, 가야금주법의 영향을 받아 소리 선율이 변화한 것이 아닌가 싶다.

A Study on , Dan-ga

Shin, Eun-Joo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there were various kinds of dan-ga and new pieces were reproduced continuously by borrowing lyrics of several dan-ga. Specifically, in 1930s, lots of new pieces of dan-ga appeared and became popular with people greatly. However, considerable number of such pieces is not sung today and compared with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dan-ga repertoire reduced significantly. , the subject of this study appeared in 1930s and it was sung actively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but few people sing it. When examining performance of at that time through radio broadcasting at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and SP album record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it was found that appeared in broadcasting in 1934 for the first time. In 1934 and 1935, was performed most actively and since then it reduced gradually.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was performed by women and records of Kim So-hee, Lee So-hyang, Lim So-hyang, Cho So-ok in broadcasting and album were found and Ju Ran-hyang and Park Cho-sun sang several times via radio broadcasting. However, most of them seem not to make it their favorite piece of music. When examining words and characteristics of , through old album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it was found to have similar forms at large. In words, lyrics of Kim So-hee, Shin Sook, Cho Geum-ok, Ju Song-sa and Lee So-hyang showed nearly same flow but there was only increase or decrease of words depending on singers. was reorganized by accepting several pieces of music which was popular at that time. The first part is words of , saseolsijo and in the second part, it passes to words of , dan-ga and organization of second part is similar to that of and , dan-ga. In terms of music, in , there is some change depending on singers and considering that similar melody flow and butimsae are shown, it seems that they belong to the same family. Whereas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various dan-ga existed in several versions and lots of pieces were produced in a form of continuous reorganization, performed by five singers recognized by old albums showed nearly same flow in terms of lyrics and music, it seems that failed to form various derivations. Meanwhile, sound source of , gayageum byeongchang performed by Chung Dal-yeong has been handed down and it is not possible to find out when it was recorded but it has melody which is greatly different from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and shows genre characteristics of gayageum byeongchang. In that appeared in the middle of 1930s, only gayageum accompaniment was inserted without significant change when it was performed in a form of dan-ga or gayageum byeongchang but as time passed, performed as byeongchang revealed characteristics of byeongchang and overall melody became simple and sound tune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gayageum technique.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