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4 (2023)
pp.203~221

DOI : 10.35983/sikm.2023.74.203

유성기음반에 수록된 사설시조의 양상

양지인

(한양대학교 박사과정)

본고는 사설사조가 가진 문학적 변화가 음악적 변화로 이어지는 관계에 집중하여, 실제 유성기음반에그 특징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시조는 유성기음반이 만들어지던 초창기부터 꾸준히취입되었으며, 사설시조를 녹음한 가창자는 그들의 공연 레퍼토리에 기반하여 남성 가창자인 최일원과고영태, 여성 가창자인 박월정과 김옥희, 유농주 두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 남성 가창자는 향제 시조의명창으로 시조를 주요 공연종목으로 활동하였으며, 여성 가창자는 시조 뿐만 아니라 판소리, 서도소리등 다양한 가창장르를 망라했다. 이는 그들의 학습배경과 무관하지 않은 양상이라 하겠다. 유성기음반에 취입된 사설시조의 주제는 평시조의 주제와 같이 다소 정제되었으며, 당시 유행했던 다른가창장르들의 주제와도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사설의 자수 측면에서는 최대 128자의 사설을 노래하여음악적으로 수용 가능한 자수가 130자 내외의 시조였으리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또한, 사설시조의 음악적구성을 고려하여 초장과 종장의 사설에는 큰 변형이 없는 시조를 채택한 모습도 확인하였다. 유성기음반에기록된 사설시조의 선율은 대체로 유사하게 진행되었다. 한편, 배자법에서는 남성 가창자와 여성 가창자의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남성 가창자인 최일원가 고영태의 경우 사설의 문학성을 고려하여 배자(配字) 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여성 가창자인 박월정과 김옥희는 문학성 보다는 사설시조의 자유로움에 집중하여 음악적으로도 다양성을 추구하였다. 이처럼 유성기음반의 사설시조를 통해 문학과 음악의 사이의 유기전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가창자의 음악적 배경에 따라 문학적 변화를 음악적으로 수용하는 양상에서차이를 보였다.

The Aspects of the Sasulsijo Contained in the Phonograph Records

Yang, Ji-In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organic relationship that the literary change of the private song leads to the musical change and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Phonograph records. The Sijo has been steadily recorded since the early days of the Phonograph recordss, and among them 13 Sasulsijo albums were released. Singers who recorded the Sasulsijo can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Choi, Il-won and Ko, Young-tae, male singers, and Park, Wol-jeong, Kim, Ok-hee, and Yoo, Nong-joo, based on their performance repertoire. Male singers who known as master singer of Hyangjesijo worked with Sasulsijo as their main repertoire. And female singers covered not only the Sijo, but also various genres such as Pansori and Seodo-sori. It can be said that this is related to their learning background. The theme of the editorial tone included in the Phonograph records was somewhat refined like the theme of the Pyeongsijo. And it showed a similar appearance to that of other popular singing genres at the time. In terms of editorial embroidery, they sang editorials of as few as 96 to 128 character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musically acceptable embroidery among the editorial tones was the sijo of around 130 characters. The melodies of the editorial tone recorded in the voiced record proceeded similarly. On the other hand, in the Baeja method, the aspects of male and female singers appear differently. In the case of male singers, the beat was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literary character. Female singers sought musical diversity by focusing on the freedom of the editorial tone rather than literary character. However, due to the lack of samples,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group that performed the sijo can be classified by gender only with this study, so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