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2 (2022)
pp.197~219

DOI : 10.35983/sikm.2022.72.197

일제강점기 한국전통음악 음고 기보체계에 관한 소고(小考) 1 -일제강점기 오선보 음고 기보 사례를 중심으로-

홍순욱

(수원대학교 강사)

한국전통음악의 오선보 기보는 19세기 말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 그 사례가 양적으로 증가하였다. 이 시기 전통음악 오선보의 기보는 현재 오선보 기보의 형태가 정립되기 이전에 이루어진 다양한 시도와 그 변화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시기 각 악보에 대한 소개와 개별적인 연구는 상당량 축적되었으나 이를 거시적 관점에서 조망하고 그 경향을 검토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일제강점기의 전통음악 오선보의 기보 양상을 기보 요소별로 검토하여 그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한국전통음악은 악곡의 종류에 따라 그 기보 양상이 차이를 보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이 시기 궁중음악과 풍류방음악을 기보한 오선보를 대상으로 하고, 악보 기보의 여러 요소 중 음고 기보를 중심으로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현행 오선보에서 황종의 음고기보가 주로 c와 e♭으로 정리되기 전 이 시기의 악보에서는 황종의 음고를 c, d, e, e♭ 등으로 다양하게 기보하였다. 일제강점기 초기인 1910년대 악곡의 종류에 상관없이 현행 정간보의 황종에 해당하는 음을 모두 c로 고정하여 기보하는 방식의 악보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음고 기보는 가네쓰네 기요스케, 백우용, 안확, 이시가와 기이치, 이왕직아악부 악원들의 오선보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음고 기보를 사용한 악보의 기보자들은 황종을 c로 기보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조표를 출현음 또는 악조에 따른 보조적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김인식, 이상준, 이혜구의 악보는 악곡의 종류에 따라 서양음악의 조표를 구분하여 사용했다. 계정식의 경우 음원을 듣고 직접 채보한 사례로 황종을 e♭로 설정한 점에서 다른 악보들과 구분되는데 조표를 보조적 수단으로 인식하여 기보한 점은 백우용이나 안확의 악보와 유사한 성격을 보인다. 백우용 이전의 악보에서는 각 악기에 따라 상대적인 음역을 고려한 음고 기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금까지 공개된 악보를 기준으로 보면 한국전통음악 오선보의 악기별 상대적 음역 기보는 백우용의 총보 제작을 기점으로 나타난 양상으로 보이며, 이러한 음고기보 방식은 이왕직아악부의 정간보와 오선보, 그리고 현대 악보의 음고 기보에 일정부분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the Wastern staff notaion System of Traditional Korean Music during Japanese colonial peirod 1 -Focusing on the case of the pitch notation system-

Hong, Soon-Wook

In traditional Korean music, Western staff notations first appeared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made a quantitative increase in the number of case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western staff nota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during the period hold significance in that they show various attempts and their changing pattern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ent notation form. There is a considerable accumulation of individual research on each score during the period in addition to their introductions, but none of them provided their macroscopic viewpoint and reviewed their trends. This study thus set out to review the notation patterns of western staff notation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by the notation element and examine their changing patter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inc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not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study focused on the Western staff nota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notated the court music and Classical music during the period and the pitch notation of the various elements in score notations to figure out their patterns. The scores during the period notated the Hwangjong pitches in various ways including c, d, e, and e♭ before the notations of Hwangjong pitches were arranged mainly in c and e♭on the current the Western staff nota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1910s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 new type of score appeared which notated all the notes corresponding to Hwangjong on the current Jeongganbo as c regardless of the pieces of music. This pitch notation style consistently appeared on the scores of Kanetsune Kiyosuke, Baek Woo-yong, Ahn Hwak, Ishikawa Ki’ichi, and musicians at Iwangjikaakbu. The notators that used this pitch notation style recognized the notation of Hwangjong as c importantly and regarded a key signature as an auxiliary means according to appearing notes or tunes. Kim In-shik, Lee Sang-jun, and Lee Hye-gu used different key signatures from Western music according to different pieces of music in their scores. Gye Jeong-shik listened to a musical source and transcribed it himself by setting Hwangjong as e♭, which means that his scores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others. He perceived and notated key signatures as auxiliary means, which indicates that his scores had similar nature to those of Baek Woo-yong and Ahn Hwak. Before Baek Woo-yong, the scores contained no pitch notations based on the relative ranges of different instruments. Given the scores made open to the public so far, it seems that the notation of the relative ranges of different instruments on the Western staff notation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ppeared around the time when Baek wrote a full score. This pitch notation style must have had some impact on pitch notations on the Jeongganbo and the Western staff notation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of Iwangjikaakbu and modern scores to some degree.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