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2 (2022)
pp.145~168

DOI : 10.35983/sikm.2022.72.145

일본의 범찬(梵讚) 쇼묘 연구 -고야산 진언종 사지찬(四智讚)을 통하여-

윤소희

(불교음악원 학술위원장)

일본 쇼묘는 범찬․한찬․화찬(민요조)의 세 가지가 있고, 범찬에는 진언․다라니와 더불어 전찬(前讚)으로 불리는 협의의 범찬이 있다. 진언과 다라니는 만뜨라찬팅이라 할 수 있지만 범찬은 동일한 제목의 한찬과 뜻과 형식이 일치한다. 고야산 곤고부지 의례와 고야산 대학의 쇼묘 강의 자료를 통하여 전찬의 사지범찬(四智梵讚)과 후찬의 사지한찬(四智漢讚)을 채보․분석해 보니 범찬은 한찬 문형에 맞추어 동일한 자수(字數)로 짓다보니 글자가 늘어나서 한어찬 보다 1구가 많았다. 음악적으로 범찬은 시작음과 종지음이 동일하고, 주로 시작음인 라(D)에서 음을 늘이며 잣는 창법을 구사하였다. 이에 비해서 한찬은 범찬 보다 4도 위에서 시작하여 선율 움직임의 폭이 크고, 다양한 선율과 시김새를 구사하다가 종지음은 전찬인 범찬과 동일한 음으로 마쳤다. 범찬이 한찬보다 10자가 많지만 한찬이 모음을 좀더 늘여 지으므로 두 곡의 소요시간은 거의 비슷했다. 또한 종지음과 종지형도 같아서 두 악곡은 한 쌍을 이루었다. 범어범패 중 진언과 다라니는 범음 자체에 초점이 맞추어진 만뜨라 찬팅인데 비해 범찬은 의례의 핵심 경전을 송(誦)하기 전에 하는 범문 찬탄이므로 전찬이라 하고, 송경이 끝나면 한문 후찬을 하는 점에서 용도의 차이가 있다. 범찬은 한찬과 쌍을 이룬데다 범자를 한자 문형과 맞추어 7언 절구 형태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범찬은 중국이나 한국에는 없는 일본의 독특한 범어범패 장르이다. 범찬이 태밀(台密)의 천태종 보다 순밀(順密)의 진언종에서 더 많이 불리는 이유는 범어쇼묘가 밀교행법과 관련이 깊기 때문이다.

A study on Sanskrit Chants in Japanese Shomyo -Through the Sichibongo of Goyasan Singonshu-

Yoon, So-Hee

Japanese Shomyo are sung in three languages: Bonsan(梵讚 Sanskrit)․Kansan(漢讚 Chinese)․Woasan(和讚 Japanese). Additionally, Bonsan has three types: Singon(眞言)․Dharani(陀羅尼)․Zensan(前讚). In this paper, I transcribed and analyzed Sichibongo(四智梵語), which is sung as a Prelude Song, and Sichikango(四智漢語), which is sung as an after song, through the Koyasan Kongobuji ritual and the sound source of the Shomyo lecture at Koyasan College. Sichibongo had one more lyric verse than Sichikango, because they tried to match Sanskrit sound words to the Chinese word’s number. Musically, Sichibongo has the same starting and end notes. It principally uses the vibrato method through increasing the starting note (D). On the other hand, Sichikango starts at 4 intervals higher than Sichibongo, and has a wide range of melodic movements. It also uses more diverse melodies and expressions, then ends on the same note as Sichibongo. Although Sichibongo has 10 letters more than Sichikango, Sichikango has more vowels, so the two songs take almost the same length of time. Also, the end tones and cadence are the same, so they have the musical consistency of two pieces. Among Sanskrit lyric song, Shingon, in the main, conveys the meaning of a magical wish(呪願), whereas Dharani is admirational and doctrinal. Zensan Sichibongo and Dharani are the same kind of song in Sanskrit. However, while Dharani is a mantra, Sishibongo is a hymn song, like Kansan. Zensan Bonsan is unique in that it is paired with the Kansan’s verses by matching the embroideries with the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is research, I learned two key points. The first is that Kukai brought the Tang dynasty Jigoang(智廣) Xitan Characters(悉曇字記) to Japan; Tendaishu’s monk Annen studied it and made the Rits(律) and Lyo(呂) scales based on the Sanskrit tone, establishing the musical theory; and it was Bonsan that blossomed such Sanskrit literature as a Shomyo. The second is that the reason Bonsan is seen more in Shingonshu than Tendaishu is because the Sanskrit lyric’s sounds are related to the secret methods of Esoteric rites and rituals.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