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0 (2021)
pp.315~343

DOI : 10.35983/sikm.2021.70.315

궁중의 雩祀 祭儀와 음악

이정희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우사(雩祀)는 기우(祈雨) 제의(祭儀)라는 특성을 지닌 의례이다. 비를 염원하는[祈雨] 간절함은 풍작(豐作)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농본사회였던 조선시대에는 비를 구하는 유교식 행동양식을 국가 사전(祀典)으로 정립하여 공식적으로 관리하였다. 그리하여 길례(吉禮)의 중사(中祀)에 ‘우사의(雩祀儀)’가 등재되어 매년 맹하(孟夏, 음력 4월)에 정기적으로 제의를 올렸다. 아울러 특별히 농수(農水)가 부족했던 기간에는 기고(祈告)에 해당하는 ‘우사단기우의(雩祀壇祈雨儀)’를 임시제로 운영하여, 비에 대한 절실함을 표출하였다. 나아가 조선후기 영조대에는 대동사회와 탕평정치를 실현하고 국왕권을 강화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친행 의례가 확대되었고, 우사단이 친행기우의 장소로 추가되기에 이른다. 우사단은 동교(東郊)에 위치했는데, ‘교(郊)’는 신과 만나는 성스러운 공간이자 제천의례가 설행되는 장소라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었다. 영조는 동교에 위치한 우사단 뿐 아니라 남교, 북교 등 도성에서 교외로 행차 범위를 넓혔고, 이러한 행위는 ‘교외’가 지니는 상징성에 의지하면서 민생 안정을 위한 국왕의 자책(自責)과 희생을 의례로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그 범주에 우사단 친행 기우가 포함되었고, 이는 ‘친향우사단기우의(親享雩祀壇祈雨儀)’로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에 수렴되었다. 그리고 조선전기와 후기를 거쳐 정기제와 임시제 그리고 친행기우까지 총 3종의 의주로 정립된 우사 제의(祭儀)의 전통은 마지막 국가전례서인 『대한예전(大韓禮典)』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기록되었다. 음악은 ‘우사단기우의’에서는 사용되지 않았고 ‘우사의’와 ‘친향우사단기우’에서 수반되었다. 공통적으로 아악악현으로 연주하는 아악을 사용하였고, 노랫말은 아악선율에 1자1음으로 구현하였으며, 육일무가 연행되어, 악(樂)․가(歌)․무(舞)가 조화를 이루었다. 아악선율, 노랫말, 육일무라는 큰 틀은 변화되지 않았지만 악현의 규모는 시기마다 차이가 있었다. 또한 ‘우사의’에는 없는 진찬례가 ‘친향우사단기우’에서 추가됨으로 인해 ‘친향우사단기우’의 진찬례에서 옹안지악 연주도 추가되기도 하였고, 거가출궁에서 고취(鼓吹)가 진이부작(陳而不作)으로 운용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용악 양상이 의례의 성격 및 위격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조선초기에 유교식 제의로 국가 사전(祀典)에 안착한 우사(雩祀)는 ‘먹거리’ 공급원인 농업을 중요하게 여겼던 사회 분위기에서 농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물[水]’을 조달하기 위해 기원했던 간절함을 담은 의식이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National Rituals and Music for Usa (雩祀)

Lee, Jung-hee

Usa雩祀 is a ritual that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rain. The earnestness of wishing for rain was closely linked to the good harvest, and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Joseon Dynasty, when it was an agricultural society, the Confucian style of action seeking rain was officially established and managed as a national dictionary. Thus, Usau 雩祀儀 was registered in the Gilrye 吉禮, and rituals were regularly held every year on Maengha(孟夏, April of the lunar calendar). In addition, during the period when agricultural water was particularly scarce, Usadan kiu 雩祀壇祈雨儀, which is equivalent to contribution, was operated as a temporary system to express the urgency for rain. Furthermo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part of a way to realize Daedong society 大同社會 and Tangpyeong politics 蕩平政治 and strengthen the king's authority, the ritual for chinhaeng 親行 was expanded, and the Us Division was added as a place for chinhaeng 親行. Usadan 雩祀壇 Altar was located in Donggyo 東郊, and ‘Gyo 郊’ had the symbolism of being a sacred space where gods meet and a place where Jecheon rituals 祭天儀禮 are practiced. King Yeongjo 英祖 expanded his journey from cities to suburbs such as Namgyo 南郊 and Bukgyo 北郊 as well as Usadan 雩祀壇 located in Donggyo 東郊, and this act was to show the king's self-criticism and sacrifice for stabilizing people's livelihoods as a ritual. The category included the rain of the Usadan 雩祀壇 chinhaeng 親行, which was converged in the Gukjosokoryeui 國朝續五禮儀 as the ‘Chinhyaeng Usadankiu 親享雩祀壇祈雨儀’. As such, the tradition of Usaje雩祀祭, which was established as a total of three types of ceremonies, including regular, temporary, and chinhaeng 親行, through the early and late Joseon Dynasty, continued to be recorded until the last national precedent, Daehanyejeon 大韓禮典. The music used Aak 雅樂, and the lyrics 樂章 were embodied in Aak 雅樂 melody as one letter and one note, and the Yugilmu 六佾舞 was performed, and the music, song, and dance were harmonized. As such, Usa 雩祀, as a Confucian ritual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foun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was a ritual with earnest desire to procure ‘water’ necessary for crop growth in a social atmosphere that considered agriculture an important source of ‘food’.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