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0 (2021)
pp.191~219

DOI : 10.35983/sikm.2021.70.191

일제강점기 경성(京城)의 권번(券番)을 통해 본 문화지형도 -삼권번(三券番)을 중심으로-

문주석

(국립국악원 학예연구사)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시대적 요구가 반영된 문화적 흐름을 수반하는 경성에서 활동한 권번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권번의 외적변화와 내적흐름을 파악함으로써 일제강점기 권번의 생태계를 이해하고, 나아가 경성에서 활동한 권번의 문화지형도를 그려보고자 하였다. 앞서 살펴본 내용들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권번의 외적변화는 사(史)적 변화양상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관기와 향기에서 경제적 생존의 방법을 선택한 요리점 기생, 기생의 자존감과 정체성을 확보하고 개인의 권익증진을 위해 탄생한 기생조합, 예술의 중심에서 사회구성원으로서 책무와 교육을 통한 전통예술 전승의 중심에 있었던 권번, 그리고 이윤추구를 지향하는 주식회사로의 전환과정을 확인하였다. 권번의 외적변화는 개인에서 조직화 그리고 기업화 되는 과정이었다. 둘째, 기예의 변화는 외래문물의 유입, 경제적 이윤추구, 새로운 볼거리를 원하는 시장의 요구가 반영된 결과이다. 그리고 서양예술과 대중문화를 수용하는 마중물 및 전파자의 역할도 담당하였다. 기생의 예술적 행위에 대한 평가가 개인에서 대중으로 문화지형이 변화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기생의 수입은 사람들이 기생에게 지출한 사회적, 문화적 요구가 해소된 결과물이다. 권번의 주요수입원으로 작동하였다. 일제강점기 기생의 기예활동으로 인한 수입은 현대사회 예술가의 예술행위가 경제활동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는 것처럼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ultural Topography of Gwonbeon (券番) in Gyeongseong (京城)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Focusing on Three Gwonbeon-

Moon, Joo-seok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al aspects of Gwonbeon (female entertainers association) in Seoul in the Japanese ruling era, where one can trace the cultural context reflecting the needs of the times. The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Gwonbeon's ecosyste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o draft a cultural topography of Gwonbeon that served in Seoul, by figuring out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of Gwonbeon. To suggest what have been examined it is as the following: Firstly, the study examined the external change of Gwonbeon in terms of the transitional aspects in its history. It reveals that gwangi (institutional gisaeng) or hyanggi (gisaeng engaged in local provinces) worked in restaurants seeking economic survival. They formed gisaeng (妓生) guilds to promote self fulfillment and ensure their rights and interests. Gwonbeon emerged to play a key role in the transmission of the tradition through training, taking responsibilities of members of society. It transformed into a corporation that aims at pursuit of profit. The external change of Gwonbeon appears to be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individuals to a corporation and an organization. Secondly, the change in their art performances reflects the needs of the market, which required new attraction,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the foreign culture along with the pursuit of profit. Also, they played the role of priming water and propagators of western art and popular culture. In brief, the cultural topography changed from individuals to the public in the evaluation of the artistic activities of gisaeng. Thirdly, the income of gisaeng is the payment that people made for satisfying their social and cultural needs. It worked as the main source of income for Gwonbeon. The income of gisaeng for their art performanc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the modern society, where an art performance is inseparable from economic activity.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