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9 (2021)
pp.309~329

DOI : 10.35983/sikm.2021.69.309

『허주금보』의 우조ㆍ계면조 조음 및 단장(短章) 연구

최선아

(서울대학교 강사)

본 연구는 18세기에 허주 이종악이 편찬한 것으로 추정되는 거문고 악보인 허주금보에 수록된 <우조 조음>, <우계면조 조음>, <우조 단장>, <계면조 단장>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한국전통음악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허주금보의 <우조 조음>은 창랑보의 <우조 조음>, <우조 조음 又>와 조음(다스름)의 유형은 같지만 비교적 고형이며 대체로 신작금보의 것과 유사하다. 이는 현행 가곡 우조 를 부르기 전에 연주하는 <우조 조음>과 같은 유형이다. <우계면조 조음>은 창랑보의 <계면조 조음>과 다른 유형으로 현행 가곡 계면조를 부르기 전에 연주하는 <계면조 조음>과 같은 유형에 해당하며 대체로 강외금보의 <계면조 장리음>과 유사하다. 허주금보의 <우조 단장>과 <계면조 단장>은 현행 <우락>과 <계락>에 해당한다. <우조 단장>은 우조 곡임에도 불구하고 方五가 단 한 번도 출현하지 않고, 유현 6괘와 유현 7괘를 밀어서 낸다는 점에서 계면조 의 변화를 보여주는 악곡임이 확인된다. 그렇다면 계면조의 변화가 우조 곡의 유현 6괘, 유현 7괘를 밀어서 연주하는 것에서부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계면조 단장>은 유현 6괘 협종을 식지, 무명지로 연주하라는 특별한 표시로 인해 모지로 연주하는 일반적인 유현 6괘, 유현 7괘, 유현 10괘, 대현 7괘가 각각 중려, 임종, 청황종, 황종을 내는 4음 음계 계면조로 된 악곡이다. 따라서 허주금보의 <계면조 단장> 역시 계면조의 변화를 보여주는 과도기의 악곡임이 확인된다. 허주금보에서는 <우조 삭대엽>에 비해서 짧은 노래라는 뜻으로 현행 <우락>과 <계락>에 해당하는 악곡을 <우조 단장>과 <계면조 단장>이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A study on Joeum and Danjang of Ujo and Gyemyeonjo of Heojugeumbo

Choi, Sun-A

This study is based on , , , and included in Heojugeumbo(虛舟琴 譜),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compiled by Heoju(虛舟) Lee Jong-ak (李宗岳) in the 18th century. Its purpose is to reveal the relevance to traditional Korean music today. Heojugeumbo's is in the same type as Changnangbo(滄浪譜)'s and , but it is a relatively old style. It was confirmed that it is generally similar to that of Shinjakgeumbo(新作琴譜). It corresponds to the same type as played before the current gagok(歌曲) ujo is sung. is a different type from Changnangbo's . It corresponds to the same type as played before the current gagok gyemyeonjo is sung,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is generally similar to in Gangoegeumbo(江外琴 譜). and by Heojugeumbo correspond to the current and . is a song that shows the change of gyemyeonjo in that the 方五 never appears even though it is a ujo song, and the 6-gwae(棵) of yuhyeon(遊絃) and the 7-gwae of yuhyeon are pushed up to make a sound. It seems that he change of gyemyeonjo is because the 6-gwae of yuhyeon and the 7-gwae of yuhyeon are pushed up and played. is a special indication that the 6-gwae of yuhyeon are played by second or fourth finger, so the general 6-gwae of yuhyeon, 7-gwae of yuhyeon, 10-gwae of yuhyeon, and 7-gwae of daehyeon(大絃) are respectively played by joongrye(仲呂), imjong(林鍾), cheonghwangjong(淸黃鍾), and hwangjong(黃鍾). It turns out that the music consists of a four-tone scale gyemyeonjo.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Heojugeumbo's is also a transitional music that shows the change of gyemyeonjo. In Heojugeumbo, , and seem to mean shorter songs than .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