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8 (2020)
pp.267~297

DOI : 10.35983/sikm.2020.68.267

윗내포제(서판제) 사설시조 연구 -아랫내포제와 비교를 중심으로-

김민정

(숭실대학교 강사)

본 연구는 일명 ‘서판제’로 불리는 윗내포제 시조 중에서도 사설시조의 음악적 특징(음계구성, 장단과 박자, 시김새 및 선율구조)을 아랫내포제와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미적특성을 추리해내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윗내포제의 음계구성은 기본적으로 黃(e♭)․太(f)․仲(a♭)․林(b♭)의 4음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 평시조에는 등장하지 않았던 姑(g)가 곡 중간 중간에 새롭게 추가된다. 이러한 음구성은 3음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제(黃․仲․林)나 아랫내포제(黃․仲․蕤)를 비롯한 타제와 변별된다. 장단은 본래 3점 5박과 5점 8박으로 되어 있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윗내포제와 아랫내포제 의 경우 5박 장단은 5점 5박, 8박 장단은 8점 8박으로 공박(空拍)이 없는 셈인데, 이러한 장단법은 경제를 비롯한 석암제 등과도 구별되는 두 내포제만의 고유한 특성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장단 치는 법에 있어서, 아랫내포제는 석암제의 ‘율려상조법(律呂相調法)’을 적용하고 있는데 반해, 윗내포제는 석암제 이전의 고형(古形)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이론을 토대로 선율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크게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떠는 소리’에서 윗내포제는 경제나 아랫내포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을 넓게 하여 원을 그리듯 출렁이며 둥글게 표현한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성글고 호탕한 느낌을 전해준다. 둘째, 4도 간격의 음 진행(“黃→仲” 또는 “仲→黃”)에서 윗내포제는 黃과 仲 사이에 太를 추가해 2․3 도 간격의 평조선율로 진행하는 점에서 변별되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유순한 느낌을 전해준다. 셋째, 종지형(중장과 종장)에서 아랫내포제를 비롯한 타제는 “仲→黃”으로 “뚝” 떨어뜨리며 4도 하강한 다. 그에 반해 윗내포제는 “仲太- (黃 太)黃-”으로 부드럽게 연결하여 순차 진행한 후 여유 있게 흔들며 여운을 남긴 채 마무리하는 점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이는 윗내포제만의 독특한 종지법이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유순하고 한가로운 느낌을 전해준다. 넷째, 윗내포제의 사설시조에서는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선율에 姑를 새롭게 추가함과 동시에 템포감을 살려 밀고 당기는 선율(“黃仲姑仲”)을 만들어내며 흥취를 더해 가는데, 이 또한 윗내포제만의 독특한 특성이라 할 수 있겠다. 이상으로 윗내포제의 사설시조는 다양하고 독특한 시김새와 선율구조, 창법 등에 있어서, 같은 내포권인 아랫내포제와도 확연한 차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 중의 하나는 기존의 시조음악에 율려상조법을 새롭게 적용한 석암제(1960년대) 이전인 1940년대 당시의 서산을 중심으로 불리던 고제(古 制)를 고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향제가 획일화되어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볼 때,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윗내포제 사설시조만의 고유한 특성들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the Saseolsijo(辭說時調) of Wit-Naepoje(Upper-內浦制), Nicknamed as a Seopanje -Focusing on Comparison with Arat-Naepoje(Lower-內浦制)-

Kim, Min-jung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seolsijo(scaling composition, jangdan(長短), sigimsae and melody structure) among the Sijos of the Wit- Naepoje, so called ‘Seopanje’,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It proceeded with the goal of inferring.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scale composition of the Wit-Naepoje basically consists of four notes :黃(e♭), 太(f), 仲(a♭), 林(b♭), and in addition to this, 姑(g) is newly added in the middle of the song. This sound composition is distinguished from song style of other provinces(他制), including the Gyengje(京制:黃․仲․林) centered on three notes and the Arat-Naepoje (黃․仲․蕤). In principle, the rhythm is composed of three points five beats(3點 5拍) and five points eight beats(5點 8拍). However, in the case of the Wit-Naepoje and the Arat-Naepoje, the five beats rhythm is five points five beats(5點 5拍) and eight points eight beats(8點 8拍), which means that there is no emptiness, and this method of performance is different from Seogamje(石巖制) including Gyengje(京制). It can be seen a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wo inclusion agents. 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playing the jangdan(長短), the “Yulyeo Sangjobeop(律 呂相助法)” of Seogamje is applied to the Arat-Naepoje.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Wit-Naepoje maintained the old form before Seogamje. Based on the above theory,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melody are largely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four. First, in the ‘vibrant sound,’ the Wit-Naepoje system is relatively wider than that of the Gyengje or the Arat-Naepoje system, so that it is expressed in a round shape as if drawing a circle. This gives a relatively sparse and warm feeling. Second, in the sound progression at intervals of 4 degrees (“黃→仲” or “仲→黃”), the Wit-Naepoje is differentiated in that it proceeds with a smooth melody at intervals of 2․3 degrees by adding a 太(f) between 黄(e♭) and 仲(a♭). This gives a relatively docile feeling. Third, in the jongji-type(終止形), style of the other provinces(他制), including the Arat- Naepoje, drop into “仲→黃” and descend 4 degrees. On the other hand, the Wit-Naepoje shows a distinct difference in that it smoothly connects with “仲太-(黃太)黃-” and proceeds sequentially, and then vibrate it with ease and leaves a lingering sound. This can be said to be the unique ending method of the Wit-Naepoje, and this gives a relatively docile and relaxed feeling. Fourth, in the editorial sijo of Wit-Naepoje, it adds a new 姑(g) to the monotonous melody, and at the same time creates a melody (“黃仲姑仲”) that boosts and pulls the tempo. It can be said that it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Wit-Naepoje. From the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editorial Sijo(時調) of the Wit-Naepoje was marked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Arat-Naepoje, which was the same inclusion, in various and unique sigimsae, melody structure, and singing. One of these factor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adherence to the old system, which was called Seosan in the 1940s, before Seogamje(1960s), which newly applied the yullyeosangjobeop(律呂相助法) to the existing Sijo music.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fragrance is becoming uniform, it is expected tha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Wit-Naepoje Sijo, which have not been well known, will be discovered newly.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