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8 (2020)
pp.177~199

DOI : 10.35983/sikm.2020.68.177

한국 민속음악에 대한 만당의 시선과 논의

임혜정

(서울대학교 강사)

만당 이혜구 선생님의 한국음악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은 민속음악의 장단을 파악하는 것으로 시작되었 다. 선생님에게 장단은 한국음악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이에 관한 이해를 통해 그 음악의 구조를 살피고자 했다. 특히 민속음악 장단의 학습을 통해 한국음악의 구조를 파악한 경험과 긴장과 이완의 표출로 정의되는 한국음악의 미를 발견한 경험은 이후 한국음악과 관련된 선생님의 논의에 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1950년대에 발표된 선생님의 민속음악 연구는 주로 우리의 토속음악을 규명해내는 작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작업과 관련해서는 당시 음악인들이 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궁금증도 그 동기 가 되었겠지만, 양주동, 송석하 등 국문학자 또는 민속학자의 연구 결과에 영향을 받은 부분도 있어 보인다. 실제로 시나위, 도솔가 등의 용어를 연구해 나가는 과정은 양주동의 견해를 가져오거나, 또는 반박하며 진행된다. 즉, 1930년대 이후 선생님은 당시 국문학자, 또는 민속학자가 진행하고 있는 연구 중에서 우리음 악과 관련된 부분에 흥미를 가졌으며, 1950년대에 민속음악 관련 저술을 집필하는 과정에서는 이에 관한 보충 또는 반론 등을 진행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이후에는 음악학자의 입장에서 음악 용어의 개념을 정립해서 이를 이론적으로 사용해 보고자 시도하게 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장단”과 관련된 용어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는 선생님의 논의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이러한 장단과 관련된 논의 전개에서 고려해 볼 점은 이미 선생님에게 서구적 사고의 틀에서 비롯된 “음악학”이 각인된 이후, 우리 음악 이론의 체계 정립이 시도되었다는 점이다. 그 과정에서 선생님 은 서양음악이론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개념을 표현하는 우리의 전통적인 음악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거 나, 또는 새로 만들어 내는 것을 피하려 했다. 각 나라별로, 또는 민족별로 음악과 관련해서 다른 개념을 지닐 수 있으며, 이를 표현하는 음악 용어가 존재할 수 있다. 각 나라별로 문화와 역사가 다르고 음악은 이를 반영하기 때문일 것이다. 과연 이를 무시하고 그 나라의 음악에 대한 이론적인 체계를 세우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 의문이다. 예를 들자면 우리 음악의 “장단”이라는 용어가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이 과연 선생님이 이를 대신해서 사용하고자 했던 서양음악의 “구(rhythmic cycle, phrase)”라는 용어의 개념과 같은 것이라 할 수 있겠는가 하는 문제이다. 만약 우리의 전통적인 사고 체계 속에서 성립된 장단이라는 개념이 서양음악에 없는 것이라고 한다면, 이를 굳이 서양음악에 존재하는 개념으로서 다시 정의를 내려 사용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이 부분은 이혜구 선생님께서 후학들에게 남겨두신 과제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Mandang Lee Hye-ku’s View and Discussion on Korean Minsogak

Im, Hye-jung

Lee Hye-ku Mandang’s interest in Korean music originated from his attempt to understand the rhyth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e tried to deeply understand the rhythm of Korean music, and through this, he wanted to know the structure of music. This musical experience had a great influence on his later research related to Korean music Early research, which began in the 1950s, focused on understanding folk music. This trend of research is related to folklore researchers such as Yang Judong and Song Seokha who interacted with him at the time. Since the 1930s, his research has many contents related to the research subjects of the Korean literature and folklore. His interest was particularly attracted by the musical content that folklore and Korean literature had not yet dealt with. His interest later led to research to establish concepts and terms related to the rhythmic system called Jangdan(장단). His discussions on Jangdan is based on the theoretical system of Western musicology. In this process, he may have tried to avoid using traditional musical terms that express concepts that do not exist in Western music theory, or to create new ones.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different music systems have been formed and developed in each culture, the question of whether music from different cultures can be explained with the same logic arises. Nevertheless, his research achievements to establish the universal concept of Jangdan that can be applied across genres and times,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based on this, left a huge legacy in future studies of Korean music.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