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8 (2020)
pp.17~36

DOI : 10.35983/sikm.2020.68.17

이혜구 박사의 “고려 대성악 변천” 재검토 -대성아악 수용과 변천의 두 단계-

송혜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본고는 이혜구 박사의 “고려 대성악 변천”에 대한 재검토 연구다. 고려사 본기 ‘명종 18년 2월 임신일 의 기사’에는 본기 외에 필자 미상의 사론이 첨부되어 있다. 이혜구 박사는 ‘사론(史論)’의 내용을 명종 18년의 ‘사실(事實)’로 해석하여 대성악 변천의 단계와 주요 내용을 ‘①예종 11년 대성악의 수용, ②의종 대의 대성아악의 정성, 중성 폐지, ③명종 18년의 향악교주 시행’으로 제시한 바 있다. 본고에서는 ‘사론’의 집필 시점과 집필자를 추정하고, 사론의 내용을 상세히 살펴 명종 18년을 주요 변천 단계로 보기 어려운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사론은 명종실록 편찬 시점인 고종 때에 쓰였다. 집필자는 고종 때의 인물인 권중경, 또는 이규보로 추정된다. 두 사람은 모두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는데, 권중경은 명종 18년 기사 집필 담당자였고, 이규보는 국가의례와 관련된 문헌인 「고금상정예문」의 서문 및 고종 2년에 시행된 태묘제례에 관한 시를 지었다는 점에서 예악에 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사론을 집필했을 가능성을 제시해보았다. 명종실록 편찬당시에 집필된 사론의 내용은 크게 ①역사적 사실, ②사관이 글을 쓰면서 인용한 ‘태 상’의 편제 기록, ③아악 전승을 바라보는 사관의 관점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역사적 사실은 의종 15년, 신사년에 제례의 춤에 변화가 있었다는 점이다. 6일무의 인원이 36명에서 48로 바뀌었다. 초헌에서는 문무 를, 아헌과 종헌에서는 무무를 추었는데, 이때 이전에 사용해 오던 무무의 의물이 ‘간과(干戈)’에서 간척(干 戚)으로 변경되었으며, 음악과 춤에는 향음과 향무의 요소가 반영되었다. 그리고 사관이 인용한 태상의 편제 기록은 변화에 대한 당시 악공들의 입장과 견해가 반영되어 있고, 인용문에서의 시점은 분명히 알기 어렵다. 가장 주목되는 것은 이러한 변화를 바라보는 사관의 관점이다. 사관은 ‘대성아악’이 송 태조가 제작한 것도 아니며, 이 음악이 제정된 후 송이 위기에 빠지게 되었다면서 정통성에 의문을 제시하였으며, 아악 전용으로 운영되어야 할 제례에서 ‘향악교주’하게 된 점, 근거 없이 문무와 무무에 변동이 있었다는 점, 팔음을 제대로 갖추지 않게 된 점 등을 비판적으로 지적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본고에서는 ‘명종 18년 사론’은 명종 18년 당시의 일로 해석하기보다, ‘사론’이 집필된 시점, 즉 고종 대를 포함한 ‘다(多) 시점’으로 해석해야 하며, 이를 근거로 고려 아악사의 변화를 예종 때, 의종 때, 명종 때 세 단계로 파악한 이혜구 박사의 견해는 예종 때와 의종 때 두 단계로 수정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의견이다. 따라서 고려시대의 아악은 연주 제도 면에서 1116년 대성아악 수용 이후 ‘아악 전용’으로 운영된 시기와 1611년에 아․종헌에 향악교주를 시도한 ‘향악 겸용’의 시기, 즉 두 단계의 변화를 겪었으며, 이 체제가 고려 말을 거쳐 조선으로 전승되었다고 본다.

A Review Study on “Changes of Tai-sung ak(大晟樂) Under Gone During Koryeo Dynasty” by Dr. Lee Hye-ku -Two Stages of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Daesung A-ak-

Song, Hye-jin

This paper is a review study on Dr. Lee Hye-ku’s “Changes of Tai-sung ak under gone during Koryeo Dynasty”(1965). In the article of Koryeosa ‘The date of 6th in February 18, King Myeongjong(1188), in addition to the main text, an unknown critique(史論) is attached. Dr. Lee Hye-ku interpreted the contents as facts from 1188, and presented the stage of the transition of Daesung-ak in three stages. In this paper, we estimate the time of writing and the author of the critique, and examine the contents in detail, and explain why it is difficult to view the 18th year of King Myeongjong as a major transition stage. The time of writing was estimated at the time of King Gojong, the time of compilation of The Annals of Myeongjong. The authors presented it with two people. It is Kwon Jung-gyeong, one who was a writer of the Myeongjong Annals, and Lee Gyu-bo, who wrote a poem about the Taemyo ritual in the 2nd year of King Gojong(1215). The content of the critique is largely understood as ① historical facts, ② records of the Taesang departments (太常府) cited while writing, and ③ the writer’s perspective on the A-ak(雅樂) tradition. The historical fact is that there was a change in the dance of the ritual in the 15th year of Uijong(1215). There was a change in the number of dancers (36 members → 48 members) in the first, second, props(Shield and arrow → Shield and ax), and music and dance(Original A-ak → A mix of Korean style music and dance). The records of Taesang-Pyeonje (太常編制) he cited reflect the positions and views of the musicians at that time on change. The point of view in the quotation is clearly difficult to know. What is most noticed is the writer’s point of view. He questioned the legitimacy, saying that “Daesung A-ak” was not produced by Emperor Song Taejo, and that the country was in crisis after the music was enacted. And he questioned the legitimacy of ‘Daesung A-ak’ because it was not produced by Emperor Song Tae-Jo of China and that the dynasty fell into crisi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is music, and criticized the change from rituals after the Uijong period(1146-1170) to a mixed form of Hyangak(鄕樂), not exclusively for A-ak. Summarizing the above, this paper discusses the reasons why the content of the article written in 1117 should be interpreted as an article reflecting the author’s opinion of the time when the Myeongjong Annals(1227) were compiled and the author’s opinions, rather than recording the history of 1117. And on the basis of this, instead of seeing the changes in Koryeo A-ak as three stages during the times of Yejong, Uijong, and Myeongjong, it was reasonable to see them in two stages during the times of Yejong and Uijong. Therefore, A-ak in the Koryeo Dynasty underwent two phases of change : the period when Daesung A-ak was accepted in 1116 and operated as a ‘Aak-only’ and in 1611, a period of ‘Hyangak-combined use’, which attempted to cultivate Hyangak in A-Jong-heon(亞․終 獻) in ritual ceremonies. It can be said that was passed down to Joseon after the end of Koryeo. In the Confucian ritual procedure, the fact that A-ak was not converted and used as a combination of Hyangak was generally judged as ‘destruction of A-ak’ or ‘incompleteness’. However, this is I think other evaluations are possible if we look at the point of view that A-ak has been Koreanized.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