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5 (2019)
pp.247~281

창작 대금독주곡의 시대별 전개양상 및 음악적 변화-1960년대부터 2018년까지-

정소희

(용인대학교 교수)

본 연구는 최초의 대금독주곡 <해월>이 발표된 1957년 이후 약 60여 년간 이루어진 대금독주곡의 전개양상을 검토하고, 시기별로 6곡을 선정하여 대금독주곡의 음악적 특징과 변천양상을 연주법, 음악어법, 표현방식의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창작 대금독주곡은 연주법 면에서 전통주법을 토대로 현대주법과 특수주법이 시도되면서 대금의 연주영역이 비약적으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연주법 확장은 연주자의 기량을 향상시키며 전통과 현대의 경계 없이 대금음악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고 해석하였다. 둘째, 창작 대금독주곡은 음악어법 면에서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창작된 곡과 현대음악어법의 두 갈래로 나눌 수 있었다. 전통음악과 현대음악 어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양상은 창작음악 전반에 나타나는 흐름으로 대금 독주곡 역시 그 연결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셋째, 창작 대금독주곡은 초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주제의 음악을 발표하며 표현방식과 연주방식 면에서 변화를 거듭해 왔음을 확인하였다. 표현방식과 연주방식의 변화는 다양한 주제를 표현해 내는 대금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며, 장구 반주가 수반되는 전통적인 독주방식을 따르지 않고 자유롭게 구성하려는 시도라고 판단하였다. 결론적으로 창작 대금독주곡은 작곡가의 음악적 배경이나 개성 및 지향점에 따라 범주와 경계가 확장되는 양상을 알 수 있었다. 대금독주곡은 시대를 거듭하면서 다양한 연주법이 시도되었고, 전통음악과 현대음악어법이 총체적이면서 선택적으로 활용되어 작곡가와 대금연주가라는 두 주체에 의해 그 영역을 확장해 왔다. 한 작품으로 그 시기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여 대금독주곡의 흐름을 파악하는 작업은 분명한 한계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금음악의 과거와 현재를 짚어보고 미래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첫 걸음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Creative Solo Pieces for Daegeum by Period -From the 1960s through 2018-

Jeong, So-hee

This study reviewed the aspects of development of solo pieces for Daegeum for about 60 years since 1957 when the first solo piece for Daegeum, Haewol was presented and selected six representative pieces by period to discus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 solo pieces for Daegeum from three aspects, including technique, musical expression, and expression style. First, creative solo pieces for Daegeum rapidly expanded the area of Daegeum performance as they attempted modern techniques and unconventional techniques based on the traditional techniques in terms of technique. It was interpreted that this expansion of the techniques was developed in a direction that of securing the diversity of Daegeum music without the boundary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modernity, enhancing the performer’s skill. Second, creative solo pieces for Daegeum could be divided into two types, pieces created based on traditional musical expressions in terms of musical expression and pieces using contemporary musical expressions. The aspect of mixing the traditional musical expressions and the contemporary musical expressions is a flow appearing throughout the creative music, and it was noted that a solo piece for Daegeum is also in the continuum. Third, it was found out that creative solo pieces for Daegeum repeatedly went through changes in terms of expression styles and playing techniques, presenting pieces of music with various themes from the early period till now. Changes in expression styles and playing techniques show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Daegeum to express various themes, and it was judged that it was an attempt to compose pieces of music, freely, not following the traditional solo style accompanied by Janggu accompaniment. In conclusion, it was noted that the categories and boundaries of creative solo pieces for Daegeum tended to expand according to the composer’s musical background, individuality and intention point.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attempted for solo pieces for Daegeum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as the traditional musical and modern musical expressions have collectively and selectively been utilized, the area has been expanded by the two subjects, the composer and the Daegeum performer. The analysis of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with one piece to understand the flow of solo pieces for Daegeum has a clear limit. Nevertheless, this study could have a significance in that it could be the first step to look into the past and present of Daegeum music and to seek a future direction.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