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5 (2019)
pp.211~246

동해안 별신굿 장구 장단의 변주 유형

장인종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 수료)

동해안 별신굿에 사용되는 음악은 타악기의 다채롭고 복잡한 리듬과 연주 기술에 의해 장단을 끊임없이 변주해 나가며 독특한 한국음악의 미적 형상을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동해안 별신굿에 쓰이는 푸너리, 드렁갱이, 삼오장, 동살풀이, 사자풀이 장구 장단의 연주 형태를 분석하여 제한적으로나마 그것의 변주 방법과 그에 따른 유형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장단을 구성하는 박의 구성에 변화를 주는 방법으로서 헤미올라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다음으로는 음형의 조합 및 음형의 변형을 들 수 있는데, 장단을 구성하는 음형들이 일정한 변화를 수반하면서 동일 장단의 다른 위치 혹은 여러 장단에 걸쳐 출현하여 조합되는 현상이다. 그밖에 음색변주 또한 변주 유형의 한 예라 할 수 있다. 이는 장구의 채와 편을 변경하거나 타법의 변화를 주어 동일한 리듬에 음색의 차이를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드렁갱이 장단의 예로부터 프랙탈 구조가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에 따라 어떤 연주 악구들은 장단의 프랙탈 구조를 적절히 반영하는 변주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the Variation Type of Janggu Jangdan in Donghaean Byeolsingut

Jang, In-jong

Percussion music in Donghaean Byeolsingut shows a unique aesthetic feature of Korean music by a colorful and complex rhythm that accompanies variations. This paper analyzes the playing style of the Jangdan such as Puneori, Deureonggaengi, Samojang, Donsalpuri, Sajapuri which is used there and presents its variation method and its types. They can be distinguished as follows. The first type is a change in beat structure which can typically be referred to as hemiola. Next, the combination of musical figure and its modification can be mentioned. It means the relocation of the figures and the resulting recombination of the phrase accompanied by their variation. In addition, a timbric variation is also presented. It is caused by the way to beat the Janggu and the selection of the stick every moment. Finally, a fractal structure is found from the examples of Deureonggaengi, so that some of the musical phrases belong to the variation type which appropriately reflects the fractal structure of Jangdan.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