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5 (2019)
pp.191~209

근대기 민속악 악보화에 관한 재고

윤영해

(California State University 방문연구원)

근대 민속악 연구 분야에서 민속악 악보화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연구 경향이나 수록된 악곡에 대한 검토는 아직 미진한 상황이며 민속악 악보화와 관련된 기존의 논의는 당시 유행하던 음악을 연구자 개인의 결정에 따라서 선정하여 채보 하였을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근대기 민속악 악보화와 관련된 성과들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흐름을 조명해보고 근대 민속악 악보화에 수록된 악곡의 양상이나 음원의 출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검토결과 근대기 민속악 악보화의 흐름의 중심에는 이상준의 속곡집이 자리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준 이전에 헐버트에 의해서 최초로 아리랑, 시조, 군밤타령과 같은 악곡의 악보화가 이루어 졌으나 본격적인 민속악 악보화의 성과는 1914년 이상준의 속곡집 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준의 속곡집은 1914년부터 1921, 1929년에 개정판을 거듭하며 연속적으로 출판되었고 수록된 악곡의 수 만해도 수십 곡에 달하여 독보적이고 독점적인 악보집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이상준의 이러한 성과는 1930년대에 계정식, 에카르트와 같은 학자들의 연구에 인용되면서 한국음악의 학문적 고찰에 이용되었으며 안기영, 마리영의 조선민요합창곡집(1931)에도 주된 참고 악보의 역할을 하며 1930년대 음악계의 연구와 창작에 크게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본고에서는 이상준 속곡집에 수록된 악곡과 속곡집 발간 이전 발매된(1914년 이전) 유성기 음반 목록의 비교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상준 속곡집 수록 악곡의 상당수가 일본축음기상회의 1913년 발매 이전 유성기 음반의 목록과 일치한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상준 속곡집에 수록된 <양산도> <개성난봉가>가 각각 계정식 논문에 수록된 <양산도>, <박연폭포>의 다성 선율 중 한 성부의 선율과 거의 일치여 이상준의 민속악 악보가 당시 음반을 채보한 작업이라는 사실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 역시 근대기 민속악 악보화 작업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개별적이고 단편적으로 진행되었다기보다는, 이상준의 속곡집의 예처럼 한 사람에 의한 악보화 작업이 매우 큰 역할을 한 것이라는 추측을 해 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상준의 속곡집에 수록된 다수의 민속악곡은 당시 발매된 유성기 음반을 채보한 것이라는 사실이 본고에서 확인되었다. 즉, 근대 민속악의 악보화 작업에 있어서 당시 유성기 음반의 발매 경향과의 상관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 reevaluation of the modern Minsogak(민속악) written in Western staff notation

Youn, Young-hae

The folk music written in western staff notation in modern age was presumptive that individual researchers would have selected particular songs among the popular songs by individual researcher’s standards. In this paper, we tried to examine the overall trends of researches related to modern Minsogak, and to discuss the relations of the written music and the sound sources of that music.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Lee Sang-joon’s Sokgokjip(俗曲集) played a key role in making modern Minsogak score. Homer Hulbert has published the song ‘Arirang’ as a Western staff notation for the first time(1896) in modern era. However, in many aspects, the representative works of modern Minsogak song books were the music books of Lee Sang-joon published in 1914 and 1921. Lee Sang-joon’s achievements were used in scholarly researches of Korean music in the 1930s and also acted as a reference note in Ahn Ki-young’s and Marie Young’s Joseon Minyo Hapchanggokjip(조선민요합창곡집)(1931) His work contributed greatly to the research and creation of the music academia in the 1930s. In addition, this paper tried to compare with the repertoire of the Lee Sang-joon’s music book and the record released before 1914. As a result, and many of the songs written in Lee Sang-joon’s music book match the repertoire of records released before 1913 by Japan phonograph record. The musical scores of and in the Lee Sang-joon’s Book of Songs are almost identical to the melody of one of the polyphonic melodies of and from Dr Keh’s(1935). These fact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works of modern folk music are not individualized and fragmented by various scholars but rather that the work of singing by one person plays a very big role. The fact that many of the folk songs written in Lee Sang-joon’s book of songs are related to the records released at the time was confirmed in this paper. In other word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lease tendency of the phonographs of the modern period and the releasing tendency of the book of songs should be considered.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