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5 (2019)
pp.121~139

고대 고취(鼓吹)의 통시적 재고

박소현

(영남대학교 교수)

본 연구는 고취(鼓吹)와 관련된 기존연구 성과의 경향을 분석하고, 문헌자료의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고대(古代) 고취의 통시적 재고를 통하여, 고취의 기원(起源)과 발흥(發興)에 관한 쟁점을 논의한 것이다. 그 결과, 고취와 관련된 기존연구 성과의 경향은 음악사학적측면에서 주로 조선시대에 편중되었으며, 고대 고취의 연구는 고구려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음악고고학적 연구가 있을 뿐 문헌자료를 통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문헌자료를 재고하여, 고대 고취의 기원과 발흥의 쟁점을 논거하면, 고취의 기원은 2세기(기원전 108년 이후) 이전 한나라가 고구려와 부여에 고취기인(鼓吹伎人)을 하사(下賜)한 기록으로부터, 한대(漢代) 고취 유입설을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3세기(238년) 백제가 고취로서 제천의식(祭天儀式)을 지낸 기록을 통해, 이전시기에 전하는 부여의 ‘영고(迎鼓)’와 같은 제천의식과 고구려의 ‘자명고(自鳴鼓)설화’ 등 고악(鼓樂)과 취악(吹樂)까지 그 범주를 확장하여 본다면, 고취의 기원을 보다 고대로 소급하여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음악사에서 고취의 기원과 발흥을 한나라 때 유입된 고취 혹은 그 일종인 ‘단소요가(短簫鐃歌)’로 설명하기 보다는, 고대 제천의식에서 사용된 고악과 취악의 발흥으로부터 재고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Diachronic Reconsideration of Ancient Gochwi

Park, So-hyun

This study is what analyzes a tendency of research performance related to the existing gochwi(鼓吹, percussion and wind band of the organization) and what discusses an issue on the origin and the rise of gochwi through a diachronic reconsideration of ancient gochwi focusing on the relevant story of literature data. As a result, the trend of the existing research performance related to gochwi was placed too much emphasis mainly on the Joseon(朝鮮) period in the aspect of music historiography. In terms of a research on ancient gochwi, there is just a research of archaeological music focusing on goguryeo(高句麗) tomb murals. But a research through the written sources is insufficient. Making an argument over the origin and the rise of ancient gochwi through examining literature materials, the origin of ancient gochwi(may be claimed the theory on the influx of gochwi in Han(漢) Dynasty from the record that the Han Dynasty in the 2nd century(after the year of B.C. 108) granted gochwi master to Goguryeo and Buyeo(夫餘). However, the origin of gochwi(鼓吹) can be tried to be gone back to the ancient era given extending its category to a harvest ritual like ‘Yeonggo(迎鼓)’ in Buyeo of being conveyed to earlier times, and even to goak(鼓樂, drum of music) and chwiak(吹樂, wind of music) such as ‘Jamyeonggo(自鳴鼓) tale’ in Goguryeo, through the record that Baekje(百濟) held a harvest ceremony(祭天儀式) as gochwi in the 3rd century(year of 238). Accordingly, the origin and the rise of gochwi in Korean music history were discussed about being necessarily reconsidered from the introduction of goak and chwiak, which were used in the harvest ritual of the ancient era rather than being explained as gochwi(鼓吹), which was flowed in during Han Dynasty, or as ‘dansoyoga(短簫鐃歌),’ which is its kind.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