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5 (2019)
pp.97~120

가곡 우조 편(編)계통 악곡 연구

김화복

(한양대학교 국악학 박사후연구원)

본 연구는 우조 ‘편(編)’ 계통 악곡이 처음 보이는 금보인 『소영집성(韶英集成)』(1822)의 <(우)편삭대엽>과 『희유(羲遺)』의 <편락>, 『방산한씨금보(芳山韓氏琴譜)』(1916)의 <우편>을 중심으로 19세기 초반부터 현행(現行)까지의 우조 ‘편’ 계통 악곡의 관련성 및 형성과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19세기 초반 『소영집성』의 우조 ‘편’ 악곡인 <(우)편삭대엽>을 ‘농(弄)ㆍ낙(樂)’에서 간점(間點)을 뺀 선율과 비교한 결과, <(우)편삭대엽>은 <(우)낙수조>와 다르고 <율당삭대엽>과 대부분 일치한다. 따라서 19세기 초반 우조 ‘편’은 ‘농’과 관련성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19세기 중반 『희유』의 우조 ‘편’ 악곡인 <편락>을 ‘농ㆍ낙’과 비교한 결과, <편락>은 <우락>과 다르고 <우롱>과 대부분 일치한다. 따라서 19세기 중반의 ‘편’도 ‘농’과 관련성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19세기 초반 『소영집성』의 <(우)편삭대엽>과 19세기 중반 『희유』의 <편락>은 모두 ‘농’과 관련성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소영집성』의 <(우)편삭대엽>과 『희유』의 <편락>은 거의 모든 선율이 일치하여 동일한 악곡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9세기 초반에 처음 보이는 우조 ‘편’ 악곡은 악곡명만 변화하였을 뿐 19세기 중반까지 연주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19세기 중반 『희유』에는 악조별로 <(우)언편>과 <(계)언편>이 보이는데, <(우)언편>은 현행 <편락>에 해당하고 <(계)언편>은 현행 <언편>에 해당하며, 『희유』의 <편락>은 현행 <편락>과 다른 우조 ‘편’ 악곡임을 알 수 있다. 이렇듯 『희유』의 <(우)언편>과 <편락> 등이 다른 금보 및 현행의 악곡명과 다른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악곡명이 잘못 기록되었을 가능성과 『희유』를 활용한 풍류 집단에서는 악곡명을 달리 불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20세기 초반의 우조 ‘편’ 악곡인 『방산한씨금보』 <우편>의 초장․2장은 『방산한씨금보』 <편락>의 초장․2장과 동일하고, <언락>의 초장․2장에서 간점을 뺀 선율과 유사하다. <우편>의 4장은 <우편> 2장과 동일하고, <우편>의 3장․중여음․5장․대여음은 <우락>에서 간점을 뺀 그것의 선율과 유사하다. 따라서 『방산한씨금보』의 <우편>은 <편락>, <언락>, <우락> 등 ‘낙’과 관련성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현행 <우편>은 『방산한씨금보』 <우편>과 3장의 각(刻) 수만 다를 뿐 대부분의 선율이 동일하다. 따라서 현행 <우편>은 『방산한씨금보』 <우편>과 사설만 다를 뿐, 동일한 악곡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19세기의 우조 ‘편’ 악곡은 ‘농’과 관련 있고 20세기 ‘편’ 악곡은 ‘낙’과 관련 있어,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된 악곡임을 알 수 있다. 19세기의 우조 ‘편’ 악곡은 19세기 후반까지 편가(篇歌) 형식이 완성되고, 우조 ‘편’이 편가에서 소외되면서 점차 쇠퇴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높은 선율을 연주하는 ‘쇠는 가락’의 악곡이 가곡에 정착되어 가는데, 비교적 낮은 선율인 19세기 우조 ‘편’ 악곡은 20세기 정서와 맞지 않아 자연스럽게 사라지고, 편가에서 주로 불리고 앞을 쇠는 <편락>, <언락>과 <우락> 등 ‘낙’의 영향은 받은 새로운 ‘편’ 악곡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로 우조 ‘편’ 악곡의 발생 시기를 19세기 초반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게 되었고, 그 악곡이 그대로 남아있지 않고 20세기에는 19세기와는 다르게 형성된 우조 ‘편’ 악곡이 정착되어 지금까지 연주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 Study of Gagok Songs Classified as Ujo Pyeon(編)

Kim, Hwa-bok

In this study, I have examined how pyeon 編 songs in ujo have developed from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day and how they relate to one another, as manifested by (U) Pyeonsakdaeyeop in Soyeongjipseong 韶英集成 (1822), a manuscript book that contains the first pyeon song in ujo; Pyeollak in Huiyu 羲遺; and Upyeon in Bangsanhanssigeumbo 芳山韓氏琴譜 (1916).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comparison of (U) Pyeonsakdaeyeop from Soyeongjipseong, a pyeon song from the early 19th century, with melodies with their passing tones eliminated from nong 弄 and nak 樂 has proved that (U) Pyeonsakdaeyeop differs from (U) Naksujo, but is almost identical to Yuldangsakdaeyeop, which demonstrates that pyeon in ujo of the early 19th century is closely related to nong. A comparison of Pyeollak from Huiyu, a pyeon song in ujo from the mid-19th century, with nong and nak has proved that Pyeollak is different from Urak even though it corresponds to Urong for the most part, which in turn demonstrates that pyeon in the mid-19th century was also connected to nong. In short, (U) Pyeonsakdaeyeop of the early 19th century and Pyeollak of the mid-19th century are virtually identical as most of their melodies correspond and they both have a great deal to do with Nong. It is thus obvious that the pyeon music, which appeared in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lasted into the middle of the century but took on a different name. Incidentally, Huiyu also contains Eonpyeon in both keys (ujo and gyemyeonjo), and the former corresponds to the current version of Pyeollak while the latter corresponds to today’s Eonpyeon. It is clear that the version of Pyeollak in Huiyu is a different type of ujo pyeon music from its modern-day equivalent by the same name. It is uncertain why the songs (U) Eonpyeon and Pyeollak in Huiyu have different names in other manuscript books and in today’s repertoire, but they could possibly have been recorded under the wrong title or the pungnyu group that used Huiyu may have referred to them by different names. The first two sections of Upyeon from Bangsanhanssigeumbo, a pyeon song from the early 20th century, are identical to the first two sections of Pyeollak from the same book, and are similar to the first two sections of Eollak with passing tones removed. The fourth section of Upyeon is the same as its second section and the third section, the interlude, the fifth section, and the postlude of Upyeon are similar to Urak without passing tones. All of these show that Upyeon of Bangsanhanssigeumbo has a great deal to do with nak songs, such as Pyeollak, Eollak, and Urak. The current version of Upyeon is basically the same as its variation in Bangsanhanssigeumbo apart from the number of rhythms in the third section; they are practically the same except for their text.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pyeon music in ujo of the early 19th century is related to nong, while pyeon of the following century is to do with nak and that they thus develop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ujo pyeon music of the 19th century seems to have declined as pyeonga (篇歌) evolved into a full form by the end of the century, leaving out ujo pyeon. Besides, it appears that as gagok was gradually raised by an octave from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ujo pyeon music of the 19th century, which was in a relatively low range, naturally fell away as it did not go down well with the new generation, and the new pyeon music, influenced by nak songs like Pyeollak, Eollak, and Urak, which had been mainly sung in pyeonga and had a raised beginning, gradually came into being. This study has thus taken the beginning of the ujo pyeon music back to the early 19th century and has demonstrated that old form did not last; a new form replaced it with the same name in the 20th century and has since been in use.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