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5 (2019)
pp.67~96

정약용(丁若鏞) 『악서고존(樂書孤存)』의 오성(五聲) 및 악기론의 음악적 및 수리적 결함

김세중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양학부 강사)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악서고존(樂書孤存)』(1811/16)을 비판적으로 조명한 연구는 매우 적다. 이 글은 『악서고존』 후반부의 오성(五聲) 및 악기 제원론의 음악적 오류와 논리적 및 수리적 부정합(不整合)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정약용식 오성의 도수(度數)와 이를 적용한 악기 제원을 살펴본 결과, ▴오성 중 ‘율(律) 위의 오성’(일차 오성) 도수와 ‘성(聲) 위의 오성’(이차 오성) 도수 사이에 심각한 수리적 부정합이 나타나고, ▴정약용의 악기들은 의도한 율과 성을 낼 수 없고, 특히 표준음인 黃鍾의 음고조차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으며, ▴금ㆍ슬(琴瑟)의 휘(徽) 및 현주(絃柱: 안족) 포지션까지 고려하면 정약용이 의도한 소리와 실제 악기 소리의 음높이가 일치할 수 없다는 것 등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음악이론서 『악서고존』의 가치가 크게 퇴색하는 대신, 『악경(樂經)』까지 포함한 사서육경(四書六經)을 갖춰야 비로소 온전해지는 ‘다산 성리학’이라는 더 큰 기획 안에서 『악서고존』의 ‘악서(樂書) 이상의 의의’를 적극적으로 탐색할 것을 제안한다.

On Musical and Mathematical Problems of Intonation and Organology in Jeong Yak-yong’s Akeseo Gojon

Kim, Se-joong

Very few studies have approached Jeong, Yak-yong’s 丁若鏞 Akseo gojon 『樂書孤存』 from critical perspectives. The article overviews Jeong’s doctrines of Five Tones and Organology from the latter half of Gojon, and clarifies their musical practical, logical and mathematical incongruities. To summarise: a) the standard number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Five Tones show fundamental incongruitties; b) Jeong’s instruments in general cannot render the intended pitches, and his hwangjong/huangzhong 黃鍾 does not have a consistent pitch; and c) the position marks and movable bridges of his ideal geum/qin 琴 and seul/se 瑟 do not operate as he intended. The article severely questions the utility of Gojon seen from musical practical terms, and proposes to newly approach the book against a wider, i.e. his unique Neo-Confucian framework, especially the Doctrine of Yeok/Yi 易.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