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5 (2019)
pp.5~28

민속적 의미로서의 작품 후경층

이해식

(작곡가, 영남대학교 명예교수)

본문은 내가 작곡한 「어방굿」(漁坊祭)․「대굿」(竹祭)․「젊은이를 위한 춤 ‘바람의 말’」․「Junction」 등의 작품 후경층이 우리 나라의 민속문화임을 밝히고 특히 한국음악의 근원은 민속문화 중에서도 삼(三)과 관련된 수자심리(數字心理)임을 설명하였다. 전통음악의 선율을 추려보면 그것은 직선적이고 비화성적인 지속음이며 나의 작품들은 이러한 지속음의 원용이다. 지속음을 뭉쳐놓은 매듭이 민속적인 고(固)이며 이 고는 나의 작품에서는 춤과 관련된 음표이다. 춤은 내 작품의 원천(原泉)이다. 본문의 근원도 춤의 역동성이다.

Back ground as a work of folk name

Lee, Hae-sik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works of Eobanggut(漁坊祭)․Daegut(竹祭) and the dance for the young people, ‘Words of Wind’(젊은이를 위한 춤 ‘바람의 말’)․Junction(旌善) etc. are our country’s folk culture, especially explained that the origin of Korean music is Three(三) of folk culture and numerical psychology related to that(數字心理). Summing up the melody of traditional music, it is straightforward, non harmonic tone and sustained tones and my works are the quotation of these sustained tones. The knot with sustained tones put together is go knot(固), which is a note related to dance in my work. Dance is the source of my work. The original of this study is the dynamics of dance.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