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3 (2018)
pp.269~290

이상준과 근대 한국 음악학의 출발

윤영해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선임연구원)

1900년대 음악 교사였던 이상준은 음악 교사로 활동하면서 다수의 음악 관련 서적을 편찬하였다. 특히 1914년 조선속곡집을 시작으로 3권의 한국 음악 악보집과 음악 이론서를 출판하였다. 그의 악보집은 서양 음악 학계와의 교두보 역할을 하였으며 그의 속곡집을 통해서 한국 음악이 서구 음악 학계에도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상준의 한국 음악에 대한 이론적 접근은 보통 악전대요라는 책에 일부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일본의 보통 악전대요라는 서양 음악 이론서의 서명과 체계를 수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상준은 일본의 이론서에 수록된 일본 아악(雅樂) 음계에 대한 해석을 한국 음악을 기준으로 재해석하여 수록하였다. 서양 음악 이론서에 한국 음악의 음계에 대한 해석을 수록하는 이러한 시도는 당대의 음악 학계에서는 이상준의 저술이 유일하다. 이상준의 한국 음악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은 그의 ‘속곡집류의 악보집에서도 드러난다. 사실 ‘속곡(俗曲)’이라는 장르명은 당대 일본에서 자국의 음악을 의미하던 용어이나, 이상준은 이 용어와 개념을 용어를 도입하여 독자적인 ‘속곡’의 분야를 범주화하였다. 처음에는 속곡의 범위를 ‘가곡’, 시조‘,’속요‘, 풍류곡’으로 구분하였으나 점차 ‘속요’에 해당하던 노래들만 수록하였다. 이상준이 가장 중점을 두었던 범주는 ‘속요’로서 속요에는 전국의 노래가 모두 수록되어 있으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경서도 지역의 노래들이다. 이 노래의 범위에는 전문 가수의 잡가부터 “밤엿타령”과 같은 민간의 음악도 함께 수록하고 있어 되도록 민간의 음악까지 수집, 보존, 보급하고자 하였던 의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준의 악보집 개정판은 해를 거듭하며 음악의 해석상 관점을 결정짓는 조표 및 박자 표기를 개정해 나갔으며 마지막 악보집인 조선속곡집 1929년 판본에서는 ‘속요’로 구분되는 악곡만 수록하며 당대의 민요를 G조(장음계)와 A조(단음계)로 구분하여 악보에 명기하였다. 한국 음악 학계에서 민요 선법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1970년대에서야 이루어 진 점을 고려하면 이상준의 악보집은 한국 음악학에서 민요의 선법 연구에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상준의 악보집과 이론서는 동시대 음악인들에게 한국 음악을 소개하고 해석하는 관점을 제시하는 방향에서 많은 영향을 끼쳤고 서양 음악 이론의 분석적 체계에서 한국 음악을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던 시도는 그의 저술에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이러한 그의 저작들은 당대 서양 음악학과의 교두보 역할을 하였으며, 근대 한국 음악학의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근대 한국 음악학을 향한 첫 분석적 시도였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조명해야 할 것이다.

The first step of early modern Korean musicology by Lee Sang-joon(李尙俊)

Youn, Young-Hae

Lee Sang-joon, who was a music teacher in the 1900s, compiled many music books. Starting with the book 『Joseon Sokgokjip(조선속곡집)』, three volumes of lyric poems, four books of music and one volume of music have been published. His music book served as a bridge between Korean music academy and Western music academy, and through his publications Korean music was introduced to Western music academics. The theoretical approach of his Korean music is partly contained in the book 『Botong Akjeondaeyo보통악전대요』. This book shared the title and the basic context with the Japanese book which is dealing with the western musicology. This attempt to record the interpretation of the scale of Korean music in Western music theory is the only one written by Lee Sang-joon in the contemporary music academy. Lee Sang-joon's systematic approach to Korean music is also revealed in his book 『Joseon Sokgokjip(조선속곡집)』. The term ‘Sokgok(속곡)’ was first used in Japan as a term to refer to the music of the country. At first, the scope of the 'Sokgok(속곡)' was divided into 'Gagok(가곡)', 'Sijo(시조)', 'Sokyo(속요)', and 'Poongryugok(풍류곡)'. The category that Lee Sang-joon focused most on is 'Sokyo', which includes songs from all over the country. Lee Sang-joon newly edited the music book while revising the original and time signature of the original music book. Lee Sang-joon tried to analyze the scale of korean folk song in early modern era. Lee Sang-joon tried to analyze the scale of korean folk song in early modern era. The music book and the theoretical book of Lee Sang-joon influenced contemporary musicians in the direction of introducing and interpreting Korean music. The attempt to understand and analyze Korean music in the analytical system of Western music theory was reflected in his writings. His writings served as a bridge for Western music major scholors. And his writing lay the foundations of modern Korean musicology. The achievement in korean musicology should be highlighted its value in that it was the first attempt at early modern Korean musicology.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