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3 (2018)
pp.179~198

강원민속예술축제의 전개양상-이보형 현장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김유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음악과 박사과정)

지역축제 중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한 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개최되어 온 것으로 ‘강원민속예술축제’가 있다. 기존 강원민속예술축제 관련 연구는 현장을 생생하게 기록한 음악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연구를 진행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초기 강원민속예술축제 가운데 특히 민속예술의 음악에 집중하여 현장 조사한 이보형의 자료가 있어 본고에서는 이를 통해 강원민속예술축제의 전개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보형의 강원민속예술축제 초기 자료는 주로 학술회의 자료, 수집한 책자, 경연대회에서 보고 들은 내용을 수첩에 상세히 기록한 것이다. 이후 제11회(1993년) 대회부터는 수첩메모, 공연책자 뿐 아니라 카세트테이프에 직접 녹음하여 음원자료를 남기기도 하였다. 그의 자료에는 대회 초기 민속예술의 모습이 현재로 이어지는 동안의 변천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것이 다수 존재한다. 이는 자료의 부족으로 인한 민속악 분야 연구의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해소해주는 자료라 할 수 있다. 1983년부터 30여 년간 강원민속예술축제는 강원도의 다양한 민속예능이 모이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이 덕분에 강원도의 민속예술 작품들은 본 축제에 출전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였으며, 이는 민속예술의 레퍼토리repertoire를 구축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각 민속예술은 그 예술성을 공고히 해가는 과정을 거쳐 짜임새가 견고해졌다. 더불어 강원민속예술축제는 민속예능이 무형문화재로 발돋움하기 전의 실험적인 무대의 역할을 하였으며, 이는 다수 민속예능의 문화재 지정으로 이러지는 교두보 역할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Aspects of Development of Gangwon Folk Art Festival-Focusing on Lee Bo-hyung fieldworks-

Kim, Yu-Jin

The Gangwon Folk Art Festival (GFAF) is one of the regional festivals that have been held in a single region since the early days. The studies on GFAF have been obstructed by the lack of a musical materials that reports the festival. In this circumstance, the fieldworks of Lee Bo-hyung on the folk music of GFAF helps analyze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GFAF. The early materials of the Lee Bo-hyung fieldworks is the detailed notes on the conference materials, the books, and the experiences from the competitions. Since the 11th competition (1993) the fieldwork includes the cassette tape recorded soundtracks on top of the aforementioned notes. His materials show a lot of clues to analyze the change of the folk music since the earliest competitions. This compensates for the lack of materials in the field of folk music. GFAF have been providing a meeting place for the various folk arts of Gangwon province for around 30 years since 1983. The folk arts of Gangwon province therefore have been helped in an effort to attend the festival, constructing a repertoire for the folk arts. Each folk arts have improved their structures through these efforts. Moreover, GFAF acted as an experimental stage for the folk arts to become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Korea.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