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3 (2018)
pp.7~34

산조 발생론 검토-시나위 발생론ㆍ봉장취 발생론ㆍ판소리 기악화론 재론-

권도희

(서울대학교)

산조 발생론은 산조가 어떤 갈래의 민속음악과 관련을 맺고 탄생한 것인지를 말하는 논리이다. 이는 산조의 시작이나 초기 전개 상황을 설명하기 때문에 산조사 기술의 논점과 교차하는 지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 발견된 유성기 음반의 산조를 살펴보면, 산조 발생론은 특정 개인이나 특수한 음악집단의 구술에의 의존하는 바 크기 때문에 특정 방향으로의 음악사적 전개를 노정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고, 나아가 그것을 음악학자들이 이론화하는 과정에서 무리한 추론도 뒤따랐음이 파악되었다. 이제 사료 발굴이나 분석 연구를 통해 산조사의 기술은 어느 정도 서술 가능한 단계에 도달했기 때문에, 그간 산조사의 초기를 대신했던 산조 발생론을 검토하는 것은 긴요한 일이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간에 제시된 산조 발생론을 시나위 발생론, 봉장취 발생론, 판소리 기악화론으로 나누어 각각의 산조사에의 기여와 논리적 한계를 사료를 통해 비평해보았다. 그 결과 판소리 기악화론은 여타 산조 발생론과 비교하여 실제 산조사와 가장 거리가 멀다. 봉장취 발생론은 산조와 봉장취의 양식적 기능적 정체가 파악되면서 그 한계가 드러났다. 봉장취로부터 산조가 발생했던 것이 아니라 양자는 사로 다른 역할을 하며 공존하다가 20세기 전반에 오히려 산조가 봉장취의 서사적 표현력과 수용기반을 흡수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시나위 발생론은 적지 않은 중요한 사료들이 발생론에서 고려되지 못했고 한편으로는 시나위의 음악 양식적 정체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다. 따라서 시나위 발생론을 정당하기 비평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Rethinking of three Theories about the Beginning in Sanjo History -Focus on The Theories about the Origines of Sinawi and Bongjanchui and the musically instrumentalised Pansori

Kwon, Do-Hee

There is no written history of Snajo which was transmitted in oral tradition. Some testimonies about the origin of Sanjo was come down through a famous players(maestros) or the leading Sanjo groups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It would be hardly to expect logical understanding of the beginning of Sanjo and We could guess easily its direction to go. So I examine three kinds of the theories about the origin of Sanjo which was transmitted by many musicians and reorganized by some musicologists. One is the origin of Sinawi, the second the origin of Bongjanchui and the third musically instrumentalised Pansori. Recent days many SP recordings were found, it makes these theories suspicious. In this paper I criticized the theories by analysing of the musics recorded in SPs. Only the theory of the origin of Sinawi is worth developing. However it would be needed to more research on the musical syntax of Sinawi. The theory of origin of Bongjanchui must be changed. Sanjo and Bongjanchui co-existed till the early 20th century and Sanjo absorbed not the style but expressionism and audiences of Bongjanchui before the 1930s. In the case of the theory-musically instrumentalised Pansori, there were so many facts which did not match the musical progress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it was spoken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he theory of the origin of Sinawi is not complete yet. There is much to research on the musical syntax of Sinawi.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