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2 (2017)
pp.237~273

영제시조의 창자별 음악적 특징 비교

배희민

(한양대학교 국악학과 박사과정)

본고에서는 각 지방제별 시조의 전승과정과 음악적 특징 및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자 향제시조 중에서 영제시조를 중심으로 시조보를 검토하였고, 나아가 각 창자별 평시조․사설시조․반사설시조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창자별로 선율 및 요성이 사용되는 위치가 서로 유사하였다. 사설시조의 사설에서는 창자에 따라 간혹 다른 부분도 있지만 가사의 내포된 의미는 같다고 사료된다. 다만 시조는 정해진 박 수에 맞추어 불러야 하는데 창자에 따라 박이 추가되거나 생략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이것은 창자의 습관 또는 특성이므로 기본적인 틀이 변질된 것은 아니다. 또한 창자들이 부르는 시조는 남(南)인 미’(Mi)를 꾸밈음이나 요성, 시김새로 빈번하게 사용하였고, 태(太)인 라(La)를 경과음처럼 불렀으므로 시조는 황(黃)․태(太)․중(仲)․임(林)․남(南)의 5음 음계 구성음으로 이루어진 황종평조, 즉 5음음계 평조임을 알 수 있다. 즉 영제시조는 손덕겸의 제자들이 전승하고 있으며, 각 창자별로는 선율진행과 사설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평시조에서 이종록이 옥타브를 넘나드는 역동적인 진행이나 음의 도약이 잦았지만 전체적인 틀에서는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다만 채숙자는 종장에서 가성을 사용하고, 마지막 8박 장단에서 길이가 늘어남으로 인해 경제시조의 특성과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설시조에서는 5명의 창자가 비슷하였으며, 사제지간인 이기릉, 박선애, 이종록이 더욱 유사하였다. 3인의 반사설시조 역시 대부분 비슷하였다. 즉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5인의 사설시조와 3인의 반사설시조는 서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평시조 또한 채숙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유사하였다. 그러므로 현재 가창되는 영제시조는 조선시대 3대 명창에서부터 기본적인 틀을 벗어나지 않은 채 유사하게 전승되었으며, 후대로 갈수록 개개인의 음악적 특성 또한 함께 만들어 나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haracteristic comparison by singers in Yeongje-sijo

Bae, Hee-M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the process of passing down the Sijo for each region and trend of changes in a way of reviewing Sijobo around Yeongje-Sijo within Hyangje-Sijo and further takes a look a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Pyeong-Sijo, Saseol-Sijo, and Bansaseol-Sijo for each singer have been compared with the following result. As a result of comparing Pyeong-Sijo․Saseol-Sijo and Bansaseol-Sijo for each singer, the position that uses the melody and voice are mutually similar. In the stories of Saseol-Sijo, the story may have some difference depending on singer, but the implication contained is considered as the same. Provided, Sijo is required to sing by encountering the number of established beat but there are cases where the beat is ad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singer. However, this is the habit or characteristic of singer that it is not deviating from the basic frame. In addition, Sijo of the singers uses Nam in ‘Mi’ frequently in the vibrato or sigimsae, and refer Tae in ‘La’ as the passing note that Sijo is Hwangjongpyeongjo, namely, 5-sound scale Pyeongjo formed with 5-sound scale tone of Hwang․Tae․Jung․Im․Nam. Yeongje-sijo has been handed down by the disciples of Son Deok-gyeom, and for each sing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lody and story processing. In Pyeong-sijo, Lee Jong-rok has frequent advancement of sound or dynamic processing beyond octave but it is not significantly deviated from the overall frame. However, Chae Sook-ja uses the falsetto in the final chapter and the final 8-beat pitch has the length extending to show closer characteristics of Seoul type of Sijo. In addition, under Saseol-Sijo, those five singers are similar to each other, and among them, more similarity is found from teacher-pupil in Lee Ki-reung, Park Sun-ae and Lee Jong-rok. Bansaseol-sijo that these 3 singers sing are mostly similar to each other. Namely, five persons of Saseol-Sijo and three persons of Bansaseol-Sijo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do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nd Pyeong-Sijo is also shown to be mostly similar with the exception of Chae Sook-ja. Therefore, the current Yeongje-Sijo is considered as handed down without deviating from the basic frame from the three most famous singers of Joseon Era, to the present time. As time goes by, Yeongje-Sijo has been created individuals music characteristic as well.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