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62 (2017)
pp.163~184

계면조 선법의 변화와 탈계면조화 - 정악을 중심으로-

임미선

(단국대학교 국악과 교수)

본고에서는 계면조의 변화를 음계상의 변화로 만 논의할 수 없는 다소 복잡한 문제가 있고, 악곡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에 차이가 있는 특징에 주목하여 계면조의 변화 현상을 논하고자 하였다. 계면조 변화가 유독 궁중음악과 풍류에서 복잡한 양상을 띠는 점을 고려하여, 영산회상 및 풍류다스름, 정대업, 수제천 이상 4곡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계면조 변화가 시작된 시기는 18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며, 변화 현상은 악곡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영산회상 상영산은 19세기 후반 무렵에 계면조의 구성음이 아닌 태주가 쓰이면서 평조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정대업의 경우에도 탁무역-협종의 4도 진행이 있지만, 음계는 ‘탁무역-황종-협종-중려-임종’으로 구성되어 탁무역 평조화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수제천 4장 부분, 풍류다스름에서도 확인된다. 본래 계면조였던 영산회상 상영산, 풍류다스름, 정대업, 수제천 등의 음악은 5음 음계에서 3~4음 음계로 변화된 과정을 거친 뒤, 계면조의 구성음이 아닌 출현음이 쓰이는 변화로 인해 본래의 계면조 성격이 퇴화하고 평조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탈계면조화’로 보았다. 그러나 정악 계면조의 모든 악곡이 탈계면조화 된 것은 아니다. 수제천은 많은 부분에서 계면조 모습이 유지되고 있어, 영산회상 상영산이나 정대업에 상응하는 정도의 변화는 없기 때문이다.

A Study on Changes of gyemyeon-jo and Degyemyeon-jo Tendency - Focused on Jeong­ak -

Lim, Mi-Sun

This study aims to discuss changes in gyemyeon-jo, and furthermore, examine the post-mode phenomena of the existing gyemyeon-jo style. This is a somewhat complicated issue in that changes in gyemyeon-jo can’t be discussed merely in terms of changes in musical scale as there are differences in phenomena that arise depending on different pieces of music. The discussion on changes in gyemyeon-jo was developed focusing on four pieces of music, including Yeongsanhoisang, Jeongdaeeop, Sujecheon and Pungnyu-daeseureum, and by considering the fact that gyemyeonji exhibits complicated elements particularly in court music and pungnyu.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conduc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presumed that gyemyeon-jo began to change in the early 18th century and phenomena associated with this change were diverse depending on different pieces of music. Yeongsanhoisang Sangyeongsan changed to pyeongjo in about late 19th century as taeju, instead of tones of gyemyeon-jo, was used. This development or circumstance is also confirmed in Pungryu-daeseueum, the fourth movement of Sujecheon. Not all musical pieces of gyemyeon-jo changed to the trichord-tetrachordscale. In Sujecheon, the gyemyeon-jo pentatonic scale was maintained. Jeongdaeeop features the tetrachord scale of Takmuyeok-Hyeopjong progress, but the trichord scale was formed with ‘Takmuyeok(㒇)-Hwangjong(黃)-Hyeopjong(夾)-Jungnyeo(仲)-Imjong(林’) and changed to pyeongjo. Regarding musical pieces, such as Yeongsanhoisang Sangyeongsan, Sujecheon, Jeongdaeeop and Pungnyu-daeseueum, their original gyemyeon-jo nature was changed because scale instead of tones of gyemyeon-jo, was used, and a trend where in gyemyeon-jo was considered the same as the post-mode appeared, via a procedure whereby the scale was changed from pentatonic to trichord or tetrachord.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