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5 (2024)
pp.73~105

DOI : 10.35983/sikm.2024.75.73

『해동문헌총록』 소재 고려 민간문집의 음악 기사 검토

이동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이다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과정)

본 연구에서는 김휴가 조선 중기에 편찬한 해동문헌총록에 수록된 고려 민간문집을 통해 고려 궁중과 민간의 음악 현장에 대해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고려사』, 『고려도경』에 근거한 고려 궁중음악 연구는 어느 정도 이루어졌으나, 민간문집을 참고한 연구가 소략하므로 민간문집의 분석은 당시의 음악 문화 현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에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해동문헌총록』을 살펴본 결과, 고려시대의 음악에 대한 내용을 다룬 민간문집에는 동국이상국집, 지포집, 보한집, 목은집, 양촌집, 목은고, 익재집, 척약재학음집, 도은집, 역옹패설, 목은시고 등이 있었다. 먼저, 상기한 민간문집에 수록된 기사 가운데 궁중의 음악 문화를 알 수 있는 작품들은 주로 연등회나 팔관회의 연행 현장을 묘사하였으며, 왕의 행차나 구나 의식을 그려낸 예시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 이는 유ㆍ불ㆍ선 사상이 공존하며 융합되었던 고려시대의 사회적인 분위기를 보여준다. 한편 민간문집에 수록된 작품 가운데 민간의 거리나 사적 공간 등의 현장을 배경으로 한 기사를 살펴본 결과 크게 개인적인 잔치와 기악 문화를 묘사한 작품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특히 문사ㆍ승려ㆍ기녀 등 다양한 계층이 가야금, 거문고, 비파, 대금, 중금, 소금, 초적 등의 악기 등을 연주하며 교류의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 주목되었다. 민간문집에 수록된 기사들은 고려시대에 향유되던 음악 문화의 일면을 짐작할 수 있게 하였으나, 전해지는 자료가 소략한 만큼 더 많은 예시를 찾지 못했다는 점, 내용 기술이 추상적이고 일부 구절 및 단어에 대한 객관성 확보가 부족한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해동문헌총록 소재 불가시문집에 수록된 음악 기사까지 살펴보지는 못했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 논의가 필요하다.

Review of Music Articles of Goryeo Folktales Basedon Haedong Literature Compendium

Lee, Dong-Hee

Lee, Da-Won

In this study, we tried to approach the music scene of the Goryeo court and the private sector through Goryeo folktales included in the Haedong Literature Compendium compiled by Kim Hu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Until now, some research on Goryeo court music based on Goryeo History and Goryeo-dogyeong has been conducted, but since the research referring to folktales is limited, the analysis of folktales will be easy to understand the music and culture phenomenon of the time in detai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Haedong Literature Compendium, the folktales dealing with the contents of music in the Goryeo Dynasty included Dongguk Yisanggukjip, Jipojip, Bohanjip, Mokeunjip, Yangchonjip, Mokeungo, Ikjaejip, Cheokyakjaehakeumjip, Doeunjip, Eyeokongpaeseol and Mokeunsigo. First of all, among the articles included in the above-mentioned folktales, works that show the music culture of the court mainly describe the performance of Lotus Lantern Festival or Eight Commandments, and examples of the king's actions and rituals of expelling evil were also found, showing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Goryeo Dynasty when Confucianism, Buddha, and Zen thought coexisted and fused.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examining articles against the background of private streets and private spaces among the works included in the folktale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m into works that describe personal feasts and instrumental culture. In particular, it was noted that various classes, including literary man, Buddhist monk, and female Gisaeng, played musical instruments such as Gayageum, Geomungo, Bipa, Daegeum, Junggeum, Sogeum and Chojeok, showing the pattern of exchange. Articles contained in folktales made it possible to guess one aspect of the music culture enjoyed in the Goryeo Dynasty, but there were limitations in that more examples were not found as the transmitted data were small, and that the content description was abstract and objectivity for some phrases and words was insufficient. In addition, since we have not been able to look at the music articles contained in the collection of Buddhist poems of Haedong Literature Compendium, a follow-up discussion is needed.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