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5 (2024)
pp.5~24
DOI : 10.35983/sikm.2024.75.5
‘국악개론’의 악곡 분류에 관한 질문
본고는 대학 교재용 ‘국악개론’의 감상편에 해당하는 악곡의 해설을 위한 분류체계를 고찰한 것이다. 과거 문헌자료 중에서 『삼국사기』 및 『고려사』 악지 와 『악학궤범』의 악곡에 대한 기록 체계를 보면, 아악(雅樂)이 수용된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아악, 당악(唐樂), 향악(鄕樂) 등 음악의 계통 에 따른 삼분법으로 일관하였다. 1970년대 이후 대학에서 교재로 사용되는 국악개론서에는 아악, 민속악, 의식음악 등 삼분법에서, 궁중 음악, 문인음악, 민간음악, 종교음악 등 사분법이 통용되며 일부 음악 교과서에는 정악, 민속악, 의식음악 등 여전히 삼분법이 통용되기도 한다. 국악개론서의 감상편, 악곡 분류는 학습자에게 국악의 이해에 대한 밀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기에, 악곡 을 계열별로 구분하여 목차를 구성하는 하나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Questions about the Classification of Music in ‘Introduction to Gugak’
This paper examines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commentary of musical pieces corresponding to the appreciation section of the Gugak introductions for university textbooks. Among the past literature data, the 『Samguksagi(三國史記)』 and 『Goryeosa(高麗史)』, Akji (樂誌) and 『Akhakgwebeom(樂學軌範)』were consistent with the three-part method recording to the music system such as Aak(雅樂), Dangak(唐樂), and Hyangak(鄕樂)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when Aak was accepted. Since the 1970s, an introductory book of Gugak, which has been used as a textbook in universities, has three divisions such as music, Aak, folk music, and ritual music, and four divisions such as court music, literary music, folk music, and religious music, and some music textbooks still use three divisions such as Jeongak(正樂), folk music, and ritual music. Since the appreciation section and music classification of the Gugak introductory book is intended to increase the density of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 way to organize the table of contents by dividing the music by series was sought.